https://doi.org/10.1163/15685365-bja10027
이 논문은 야고보서 5:11에서 저자가 욥을 ὑπομονή(인내)의 본보기로 제시하는 방식을 다룬다. 전통적인 욥기에 비춰볼 때 ‘인내심 많은 욥’이라는 이미지는 어색하므로, 연구자들은 종종 『욥의 유언』을 야고보서의 욥 전승 출처로 보아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ὑπομονή를 보다 넓은 그리스·로마 문학적 배경 속에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게 할 때 이 단어는 ‘인내’보다는 능동적이고 공격적인 덕목, 곧 “지속적 저항”에 가까운 의미를 드러낸다. 저자는 야고보서 저자가 욥기를 이러한 헬레니즘 문학 틀 속에서 재해석했으며, 그 결과 인내라는 덕목이 헬레니즘적 색채 속에서 새롭게 중심 위치를 차지하게 된 칠십인역 욥기의 해석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Abstract Interpreters have often struggled to account for the way in which the author of James employs the figure of Job as an example of ὑπομονή (Jas 5:11). Since a “steadfast” or “patient Job” is clearly incongruous with the book of Job, the Testament of Job is often forwarded as the preferred source of James’ Joban tradi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James’ language of ὑπομονή should be read against its wider Greco-Roman literary background, and when done so, the Greek term emerges as an active, aggressive virtue, best rendered “enduring resistance.” The article posits that the author of James has reread the book of Job within this Greco-Roman literary framework, resulting in a congruent, though thoroughly Hellenistic, reading of Septua-gint Job in which the virtue of endurance takes on a newfound centr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