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은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았을까'?: 욥기 42:7–17에 나타난 의심과 순진함

Did Job Live “Happily Ever After”? Suspicion and Naivety in Job 42:7–17

https://doi.org/10.5325/jtheointe.17.1.0077

욥기서는 주인공의 가족과 재산이 회복되며 (42:7–17) 행복한 결말을 맺는 듯하다. 그러나 책의 나머지 부분과 병치될 때, 이 에필로그는 부조화하고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는 듯이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이중적인 읽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한편으로는 에필로그가 피상적인 세계관에 저항하고 불의에 항의하는 의심의 해석학으로 읽힐 수 있다. 이러한 읽기는 욥의 하나님, 욥의 회복, 그리고 욥의 말에 나타난 문제적인 특징들을 드러낼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폴 리쾨르에 의거하여 텍스트가 “두 번째 소박함”으로 접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텍스트 세계의 상징적 온전성을 내재화하도록 환영받는다. 텍스트는 이 두 가지 읽기를 모두 초청하며 그들 사이에서 판단하지 않는다. 이들을 변증법적 긴장 속에 유지함으로써 해석학과 신학 모두가 풍요로워진다.

The book of Job apparently ends happily ever after, with the restoration of the protagonist’s family and fortune (42:7–17). Juxtaposed with the rest of the book, however, this epilogue may appear incongruent and deeply problematic. In light of that, this article argues that a double reading is warranted. On the one hand, the epilogue may be read with a hermeneutic of suspicion, which resists superficial worldviews and protests against injustice. This reading will unmask troubling features in the representation of Job’s God, Job’s restoration, and Job’s speech. On the other hand, though—and drawing on Paul Ricœur—the text can be approached with “second naivety.” The audience is thereby welcomed to inhabit the symbolic wholeness of the textual world. The text invites both these readings and does not adjudicate between them. By holding them in dialectic tension, both hermeneutics and theology are enriched.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