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의 ‘아바’ 사용과 그의 하나님 아들 자의식에 관한 연구- 초기 고(高)기독론 형성에 미친 영향 -

One of the most important christological titles given to Jesus in the NT is undoubtedly the title “Son of God.” The four Gospels unanimously present a portrayal of Jesus speaking of God as his Father and of himself as his Son. One of the most common views in New Testament scholarship about Jesus’ divine sonship today, however, asserts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title to Jesus in the NT writings was a late development and it cannot be traced back to his self-consciousness of his divine sonship. While the term “Son of God” was originally understood simply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close relationship of the royal Messiah to God, the early church applied it to Jesus because his resurrection was seen as the moment when he became the Son of God. Subsequently, the early church gradually pushed the inauguration of Jesus’ status as Son of God back to the Transfiguration (Mk 9:7), then to his baptism (Mk 1:11) and finally either to his virginal conception (Matthew and Luke) or pre-existence (John). However, if it can be shown that Jesus conceived himself to be the Son of God – understood as one who stands in a unique personal relationship to God as his Father – and conveyed this self-understanding to his first disciples, this common view would collaps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contemporary debate on Jesus’ use of the term Abba as an address to God and to assess the impact of his use of Abba and his self-consciousness of divine sonship upon the development of early high Christology. I submit that Jesus’ self-consciousness of his divine sonship – understood as standing in a unique and intimate relationship to God – did not only play the most significant part in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ristian understanding of him as the Son of God but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ir conviction that he is also the pre-existent Son of God.

신약성경에서 예수님께 부여된 가장 중요한 기독론적 칭호 중 하나는 의심할 여지 없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이다. 4복음서는 한결같이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자신의 아버지로, 또 자신을 그의 아들로 말씀하시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오늘날 신약 학계에서 예수님의 신적 아들 되심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견해 중 하나는, 신약성경에서 이 칭호가 예수님께 적용된 것은 후대의 발전이며, 이는 예수님 자신의 신적 아들로서의 자기 인식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용어는 원래 왕적 메시아가 하나님과 맺는 긴밀한 관계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단순히 이해되었지만, 초기 교회는 예수님의 부활을 그가 하나님의 아들이 된 순간으로 보았기 때문에 이 칭호를 그에게 적용했다는 것이다. 그 후, 초기 교회는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지위를 얻으신 시점을 점차적으로 그의 변모(막 9:7)로, 그 다음에는 그의 세례(막 1:11)로, 그리고 마침내는 그의 동정녀 탄생(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이나 선재(요한복음)로까지 소급 적용했다. 하지만 만약 예수님께서 자신을 하나님과 독특한 인격적 관계를 맺고 있는 '하나님의 아들'로 인식하셨고, 이러한 자기 이해를 그의 첫 제자들에게 전달하셨다는 것이 입증될 수 있다면, 이 일반적인 견해는 무너질 것이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부를 때 '아빠(Abba)'라는 용어를 사용하신 것에 대한 현대의 논쟁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가 '아빠'를 사용한 것과 그의 신적 아들로서의 자기 인식이 초기 고층 기독론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저자는 예수님께서 자신을 하나님과 독특하고 친밀한 관계에 있는 존재로 이해하신 신적 아들로서의 자기 인식이, 그를 하나님의 아들로 이해한 초기 기독교의 이해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또한 '선재하신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그들의 확신에 토대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