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부분과 여러 모양으로”: 히브리서와 강해 해석학"

“At Many Times and in Various Ways”: Hebrews and the Hermeneutics of Exposition

https://doi.org/10.5325/jtheointe.15.1.0121

강해 설교에 있어 중요한 해석학적 쟁점은 본문을 가르칠 책임(하나님께서 성경 저자들을 통해 말씀하신 “많고” “다양한” 방식들을 합당하게 인정하며)과 그리스도를 설교할 사명(“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신” 분) 간의 관계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히브리서 기자의 해석학적 실제에 대한 일련의 사례 연구를 통해 그 관계의 역동성을 탐구한다. 본서의 서두 구절들이 확립한 더 큰 해석학적 틀 안에서 필자는 히브리서 2:5–3:6, 3:7–4:13, 그리고 12:1–13에서 성경이 인용되고, 반향되고, 설명되고, 적용되는 다양한 방식들을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것은 단 하나의 유연하지 않은 규칙이 아니라, 성경 본문의 특수성(그 내용과 발화 의도 모두에서)에 민감하고, 청중의 상황을 인지하며, 하나님의 백성이 아들 안에서 하나님이 말씀하신 변치 않는 말씀을 듣고 반응하도록 격려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강해 설교의 유형에 대한 근거이다.

A crucial hermeneutical issue for expository preaching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ibility to teach the text (giving due acknowledgment to the “many” and “various” ways in which God spoke through the authors of Scripture) and the commission to preach Christ (who is “the same yesterday and today and forever”). In this article I explore the dynamics of that relationship through a series of case studies in the hermeneutical practices of the writer to the Hebrews. Within the larger hermeneutical framework established by the letter’s opening verses, I examine the various ways in which Scripture is quoted, echoed, explained, and applied in Hebrews 2:5–3:6, 3:7–4:13, and 12:1–13. What emerges from the study is not a single, inflexible rule but a warrant for the kind of expository preaching that is sensitive to the particularities of the biblical text (in both its content and its illocutionary force), cognisant of the circumstances of the hearers, and directed toward the goal of encouraging God’s people to hear and respond to the unchanging word spoken by God in his So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