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209
본고는 시편 24편에 나타난 교부학적 페르소나 해석의 두 가지 제안된 사례를 탐구한다. 즉, 영광의 왕을 부활하여 승천하는 예수로 동일시하는 것, 그리고 7-10절의 교창 화자들을 하늘 문을 지키는 천사 문지기들과 동일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들은 자의적이지 않으며, 고대 저자들이 접근할 수 있었던 주목할 만한 본문상의 모호성과 예표론적 요소들이 해당 동일시들이 시편 본문에 근거를 두도록 한다. 이러한 교부학적 해석 사례들은 매튜 베이츠의 연구와 대체로 일치하지만, 이들은 그의 제안된 페르소나 해석 정의를 약간 수정할 근거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wo proposed instances of patristic prosopological exegesis in Ps 24: the identification of the King of glory with the resurrected and ascending Jesus, and the antiphonal speakers of vv. 7–10 with angelic guards at the gates of heaven. Far from being arbitrary connections, notable textual ambiguities and typological elements accessible to ancient authors ground the identifications in the psalm text. These examples of patristic exegesis fit generally within the research of Matthew Bates, but they provide a basis for slightly modifying his proposed definition of prosopological exeg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