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들은 무엇을 두려워했던가? (막 16:8)

What Were the Women Afraid Of? (Mark 16:8)

https://doi.org/10.2307/26421436

본 논문은 여성 제자들의 침묵과 그들을 침묵하게 만드는 두려움에 대한 여러 해석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조사한 후, 마가복음에서 나타나는 두려움에 대한 더 깊은 분석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예수의 부활에서 나타난 신성한 힘에 대한 경외심에서 두려움이 비롯된다는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한다. 해석가들은 이러한 잠정적인 결론 이상으로 나아가기를 두려워하며, 그렇게 하는 사람들은 실제로는 성경 해석보다는 자신의 신학적 관점에서 논쟁을 펼치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이는 해석학적 글에서 반복적으로 볼 수 있다)은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필수적이다. 이 지점에서 해석자는 자신이 제자도로 부름받았음을 깨달았던 회심 경험에 접근해야 하며, 그 경험을 자신의 신학적 전통의 용어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어떻게 주제화했는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석의 잠정적 결론을 확인하거나 반증해야 한다. 나는 나의 신학적 전통 안에서 여성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십자가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대에 생명을 불어넣는 신성한 거룩함에 대한 제자들의 굴복의 필요성이라고 주장한다.

After a survey of exegetes' differing opinions about the silence of the women disciples and the fear that keeps them silent, this article progresses to a deeper analysis of fear in Mark's Gospel and comes to the tentative conclusion that the fear arises from an awed reaction to the divine power manifested in the resurrection of Jesus. Beyond this tentative conclusion exegetes fear to go, and those who do so are really arguing from their own theological perspectives rather than from exegesis. This move (which one can see over and over again in exegetical writing) is not only natural, but required. At this point, the interpreter must access the conversion experience in which she knew herself called to discipleship, and from an understanding of how she has (consciously or subconsciously) thematized that reaction in the theological terms of her tradition, confirm or disprove the tentative conclusion of her exegesis. From within my theological tradition, I argue that the women are afraid not just of the cross but of the disciples' need to surrender to a divine holiness that empowers life in the new ag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