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48
윌리엄 아브라함은 그의 중요한 저서에서 "교회법규를 인식론적 기준으로 오랫동안 잘못 해석해 온 것"을 비판한다. 그는 또한 "정경"을 정의할 때 성경을 정경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기독교 공동체가 은혜와 구원의 수단으로 공식적이거나 반공식적으로 식별하고 구별해 놓은 "자료, 사람, 관행"의 네트워크 내 한 요소로 간주한다. 본 논문은 아브라함의 관점이 성경 해석에 미치는 함의를 분별하고 평가한다. 아브라함의 접근 방식은 더욱 고전적이고 심지어 동방 정교회적인 관점을 탐구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성경적, 역사적 고려 사항은 서구 유산에 대한 그의 비판을 완화해야 한다. 은혜의 수단에 대한 그의 신학적 강조는 유용한 교정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는 구원론과 인식론 사이의 잘못된 이분법을 피해야 한다. 교회의 교리적, 윤리적 가르침을 규제하는 것은 성경 본문이 은혜를 매개하는 중요한 방식이다. 전도서 12:9-14의 짧은 예시를 통해 성경을 "정경적으로" 읽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성경의 은혜로운 기능 중 하나는 우리를 구원론적으로 읽도록 자극하는 것이지만, 우리는 성경 본문을 통해 우리에게 전달되는 기존의 지혜 가르침이 가하는 압력을 고려하여 그렇게 한다.
In his important book, William Abraham criticizes "a long-standing misinterpretation of ecclesial canons as epistemic criteria." He also defines "canon" in such a way that Scripture is not the canon but rather one entity in a network of "materials, persons, and practices officially or semi-officially identified and set apart as a means of grace and salvation by the Christian community." This paper discerns and evaluates the entailments of Abraham's viewpoint for biblical interpretation. Although Abraham's approach offers the opportunity to explore a more classic and even Eastern Orthodox perspective, biblical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should moderate his critique of the Western heritage. His theological emphasis on means of grace is a helpful corrective. Yet we must avoid false dichotomies between soteriology and epistemology: Regulating the church's dogmatic and ethical teaching is a crucial way in which biblical texts mediate grace. A brief example from Eccl 12:9–14 enables us to see more clearly what it means to read Scripture "canonically": one of Scripture's gracious functions is goading us to read soteriologically, yet we do so in light of the pressure exerted by the received wisdom teaching that is passed on to us through biblical 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