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죄와 존재의 추문적인 본질에 관하여

On Original Sin and the Scandalous Nature of Existence

https://doi.org/10.2307/26421426

이 논문은 사라와 하갈 이야기를 인간 창조의 상대적 자유와 신의 창조에 대한 절대적 자유라는 관점에서 해석한다. 해석은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가며, 등장인물들의 자유로운 결정과 그에 대한 신의 응답을 지적한다. 하갈과 이스마엘은 아브라함의 자손을 통해 모든 민족을 복 주시겠다는 약속의 미완성된 상태를 완전히 나타내는 것으로 주장된다. 그들의 추방은 누구의 잘못도 없이 사람들이 쫓겨나는 존재의 충격적인 본성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은 여전히 그들에게 은혜롭게 응답한다. 이 신학적 해석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와 유아 세례 교리, 그리고 칼 바르트의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 교리에 대한 논의를 위한 틀을 제공한다. 사라-하갈 이야기의 해석은 두 신학자로부터 통찰력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논문은 유아 세례와 약속과 성취 사이의 교회 현재 위치에 대한 진술로 결론을 맺는다.

This article interprets the story of Sarah and Hagar in terms of the relative freedom of humanity in creation and the absolute freedom of God for creation. The interpretation follows the narrative flow of the story, pointing out the free decisions of the actors and God's responses to them. It is argued that the figures of Hagar and Ishmael fully represent the unfulfilled status of the promise that God will bless all nations through Abraham's offspring. Their expulsion demonstrates the scandalous nature of existence, one in which people are cast out through no fault of their own. Nonetheless, God still responds to them graciously. This theological interpretation provides a framework for a discussion concerning Augustine's doctrines of original sin and infant baptism as well as Karl Barth's doctrine of election in Christ. The interpretation of the Sarah-Hagar narrative allows one to take insights from both theologian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statement regarding infant baptism and the church's current location between promise and fulfillmen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