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관의 무게”: 야곱-에서 이야기의 절정(창세기 32–33)에서 드러난 택정, 은혜, 그리고 겸손

“Heavy Is the Head”: Election, Grace, and Humility in the Climax of the Jacob-Esau Cycle (Genesis 32–33)

https://doi.org/10.5325/jtheointe.16.1.0023

구약성경의 '선택'에 대한 최근의 훌륭한 연구들 중 상당수는 구약성경이 묘사하는 선택이 고전적인 기독교 신학적 이해와 어떻게 부합하는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선택에 대한 고전적 설명에서 매우 두드러지는 야곱과 에서의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 본 논의는 창세기 32–33장에서 선택, 은혜, 그리고 겸손 사이의 상호 작용을 조사한다. 야곱에게 겸손은 에서 앞에서 그의 취약함을 통해 함양된다. 그러나 에서의 행동은 야곱이 야훼 앞에서 자신의 지위를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게 하는 프리즘 역할을 수행한다. 겸손은 에서의 비참함 묘사를 통해서가 아니라, 에서가 보여주는 관대함을 통해 함양된다. 이를 통해 야곱의 서사에서 에서의 역할은 더욱 풍성해진다. 또한 창세기 32–33장에 비추어 볼 때, 선택, 은혜, 그리고 겸손에 대한 고전적인 아우구스티누스적 설명이 어떻게 복합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In much of the fine recent work on election in the Old Testament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how the Old Testament’s depictions of election fit with classic Christian theological understanding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acob and Esau, so prominent in classic articulations of election, the present discussion investigates the interplay between election, grace, and humility in Genesis 32–33. Humility is fostered in Jacob through his vulnerability before Esau. Yet Esau’s behavior serves as a prism through which Jacob can see his own status before YHWH with greater clarity. Humility is fostered not through a depiction of Esau’s misery, but through Esau’s display of magnanimity. Esau’s role in Jacob’s narrative is enriched and questions are posed over how classic Augustinian accounts of election, grace, and humility might be complexified in light of Genesis 32–33.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