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의 세력적 이해와 교회의 선교적 사명

Understanding Sin as a Power and the Mission of the Church

*페이지 하단의 '바로가기' 버튼을 눌러 전문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고는 사도 바울이 죄를 단순히 개별적인 행위가 아닌, 인류를 지배하는 하나의 '세력'(power)으로 이해한 방식을 분석하고, 이러한 죄 이해가 교회의 복음 이해와 선교적 사명에 미치는 함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울은 로마서 5-8장에서 죄를 세상에 들어와(롬 5:12) 왕 노릇하고(롬 5:21), 인간을 종으로 삼아(롬 6:17) 속이고 죽이는(롬 7:11) 인격적 주체로 묘사한다.

본고는 바울이 묘사하는 죄의 세 가지 특징을 논증한다. 첫째, 죄는 사탄이나 악마적 존재와는 구분되는 실체이다. 바울이 죄의 기원을 아담 한 사람을 통해 설명하는 방식(롬 5:12)은 제2성전기 유대 문헌에서 악마적 존재의 기원을 설명하는 방식과 다르다. 둘째, 죄는 인간 외부가 아닌 내면에서 역사하는 강력한 내적 힘이다. 이는 '악한 마음'이 인류의 보편적 질병이 되었다고 보는 에스라 4서의 관점과 유사하며, 인간의 욕망(ἐπιθυμία)을 조종하고 지성을 기만하여 불순종을 유발한다. 셋째, 이 내적인 힘은 개별적 성향을 넘어 아담 이후 전 인류를 예외 없이 지배하는 우주적 세력이다.

이러한 세력적 죄 이해는 교회의 복음과 선교에 대한 근본적인 재해석을 요구한다. 첫째, 복음은 개인의 죄 용서 선언을 넘어, 죄라는 우주적 세력을 정복하신 그리스도의 우주적 승리와 통치 선포가 된다. 둘째, 교회는 단순히 용서받은 죄인들의 모임이 아니라,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죄의 지배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통치 영역으로 '영역을 이동한'(골 1:13) 해방 공동체이며, 성화는 이 공동체가 함께 그리스도의 통치를 힘입어 죄에 맞서는 집단적 과제이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선교적 사명에서 최우선순위는 복음 선포를 통해 사람들을 죄의 지배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통치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되어야 한다. 사회 구제와 같은 다른 모든 선한 활동들은 이 구원적 '영역 이동'이라는 교회의 본질적이고 독특한 사명을 돕는 부차적 지위를 갖는다.

This paper analyzes the Apostle Paul's understanding of sin not merely as individual acts but as a 'power' that dominates humanity, and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is perspective for the church's understanding of the gospel and its mission. In Romans 5-8, Paul portrays sin as a personified agent that enters the world (Rom 5:12), reigns as a king (Rom 5:21), enslaves human beings (Rom 6:17), and deceives and kills (Rom 7:11).

This paper argues for three characteristics of sin as described by Paul. First, sin is an entity distinct from Satan or demonic beings. The way Paul explains the origin of sin through one man, Adam (Rom 5:12), differs from how the origins of demonic beings are explained in Second Temple Jewish literature. Second, sin is a potent internal force that operates within humanity, not outside of it. This is similar to the perspective in 4 Ezra, which sees the 'evil heart' as a universal human ailment, and it manipulates human desires (epithymia) and deceives the intellect to induce disobedience. Third, this internal force is a cosmic power that transcends individual dispositions to dominate all of humanity without exception since Adam.

This understanding of sin as a power demands a fundamental reinterpretation of the church's gospel and mission. First, the gospel becomes a proclamation of Christ's cosmic victory and reign over the universal power of sin, extending beyond a mere declaration of personal forgiveness. Second, the church is not simply a gathering of forgiven sinners but a liberated community that has experienced a 'realm transfer' (Col 1:13) from the dominion of sin to the dominion of Christ; sanctification is the collective task of this community resisting sin by drawing on Christ's reign. Finally, the highest priority of the church's mission must be to facilitate this 'realm transfer' for others through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All other good works, such as social relief, hold a secondary position, serving this essential and unique mission of salvific 'realm transfer.'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