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라와 속죄

The Torah and Atonement

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149

레위기 4장의 “속죄제”는 속죄 교리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논문은 레위기가 죄 또는 허물, 속죄제 또는 허물 제물, 실수, 속건제 또는 잘못 제물, 개인과 성소에 남는 얼룩, 위반, 배상, 대속 또는 덮음 또는 정결케 함 또는 속죄, 그리고 사면과 용서를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더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이것들이 이스라엘 역사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주목하며, 유대인과 온 세상을 위한 예수 죽음의 중요성을 어떻게 밝히는지 살핀다. 레위기가 진노, 하나님을 달래는 것, 또는 대속적 형벌에 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예수 죽음의 제공에 비추어 볼 때, 그가 우리의 얼룩을 제거하고, 우리의 얼룩에 구현된 죽음의 세력에 대한 승리를 거두었으며, 우리를 대신하여 하나님께 배상하고, 우리의 빗나감 속에서 우리를 품으시려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뜻을 구현하였으며, 세상을 하나님의 사면을 구하도록 이끌었음을 볼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비뿐 아니라 정의에도 관심을 가지며, 자신의 백성과 세상이 그들 자신의 빗나감을 감당하게 할 수도 있다고 덧붙인다.

The “sin offering” in Lev 4 has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doctrine of the atonement. The article considers further what Leviticus means by sin or offense, sin offering or offense offering, mistake, guilt offering or fault offering, stain on the person and on the sanctuary, violation, reparation, ransom or covering or cleansing or atonement, and pardon and forgiveness. It notes how these find expression in Israel’s history and considers how they illu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eath of Jesus for the Jewish people and for the world. It notes that Leviticus does not talk about wrath, propitiation of God, or substitutionary punishment. It concludes that looking at the death of Jesus in light of its provision, one can see that he dissolved our stain, won a victory over the forces of death embodied in our stain, made reparation to God on our behalf, embodied God’s gracious willingness to carry us in our waywardness, and drew the world to seek God’s pardon, but that God is concerned for justice as well as mercy and can also let his people and the world carry their own waywardnes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