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862
최근 대중적 저작과 학술적 저작 모두에서 기독교적 삶과 사상에 나타나는 사후 세계에 대한 질문이 다시 한번 초점이 되고 있다. 오늘날 이 질문은 일반적으로 몸과 영혼의 관계, 그리고 몸의 부활에 대한 (반드시 대중적인 것은 아니지만) 공언된 기독교적 믿음에 비추어 볼 때 중간 상태의 내용 (또는 심지어 목적)에 집중된다. 논의의 상당 부분은 "죽어가는 이들과 사별한 이들에게 우리는 어떤 희망을 주는가?"라는 매우 실질적인 질문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이 글에서 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경 주석, 특히 상대적으로 탐구되지 않은 성경 주석에서 발견되는 그의 주해적, 철학적 통찰력이 고린도후서 5장에 대한 신선한 해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바울이 중간 상태와 부활 상태 모두에서 발견하는 희망에 대한 더 목회적으로 예민한 설명을 제공한다고 제안한다.
The question of the afterlife in Christian life and thought has once again become the focus of a number of recent works, both popular and academic. Today, this question typicall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body to soul and the content (or even the purpose) of the intermediate state in light of the professed—though not necessarily popular—Christian belief i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Much of the discussion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immensely practical version of this question: what hope do we give to the dying and the bereaved? In this article, I suggest that the exegetical and philosophical insights of Thomas Aquinas, as found most particularly in his relatively unmined biblical commentaries, provide not only a refreshing reading of 2 Cor 5 but also a more pastorally astute explication of the hope Paul finds in both the intermediate and resurrection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