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락 서사 속 지식의 규칙 읽기: 원죄의 인식적 효과에 대한 칼뱅과 개혁주의 인식론**

Reading the Rules of Knowledge in the Story of the Fall: Calvin and Reformed Epistemology on the Noetic Effects of Original Sin

https://doi.org/10.2307/26373912

개혁주의 인식론은 현대 변증학을 위해 칼뱅의 신성 감각(sensus divinitatis) 개념뿐만 아니라 그 부정적 대칭점인 원죄로 인한 인간 지적 능력의 타락이라는 개념 또한 재확립했다. 그러나 앨빈 플랜팅가가 그 개념을 되살려낸 것이 칼뱅의 『기독교 강요』에서 어느 정도 지지를 받는다 해도, 그것은 성경 주석적으로 규정된 칼뱅 인류학의 역사적 역동성을 온전히 담아내지 못한다. 나는 내 주장을 칼뱅의 타락 주석에 대한 면밀한 독해로 뒷받침할 것이다. 이 독해는 참된 지식의 그리스도론적 매개를 강조하며, 칼뱅이 무질서한 상상력을 죄의 주요 인식적 동반물로 규정한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들은 원죄의 인식적 효과에 대한 어떤 현대적 재조명에서도 주목할 가치가 있으며, 칼뱅의 주석은 그 자체로 계속해서 신학적 흥미를 지닌다.

Reformed epistemology has reclaimed for contemporary apologetics not only Calvin's notion of sensus divinitatis, but also its negative counterpart—the idea of the corruption of human intellectual capacities through original sin. But while Alvin Plantinga's retrieval of the concept finds some support in Calvin's Institutes, it does not do full justice to the exegetically determined historical dynamism of Calvin's anthropology. I will support my argument with a close reading of Calvin's exegesis of the Fall, which highlights the Christological mediation of true knowledge, and Calvin's identification of disordered imagination as the primary noetic accompaniment of sin. These features deserve the attention of any contemporary retrieval of the noetic effects of original sin, while Calvin's exegesis continues to be of theological interest in itself.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