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6.1.0057
칼 바르트는 그의 화해론의 핵심에서 탕자 비유에 대한 독특하지만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기독론적 해석을 제시한다. 아돌프 율리허가 정립한 예수 비유 해석 패러다임에 대한 존중과 저항을 동시에 보이면서, 바르트의 해석은 우화적 해석을 거부하고 이야기의 문학적 특성에 호소한다. 그러나 그것은 비유의 즉각적인 문학적 맥락보다 바르트가 인식하는 정경 기독교 성경의 전체적 신학적 중요성을 해석학적으로 우위에 둔다. 바르트의 접근법은 편집 비평과 비유를 은유적 텍스트로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 비유 연구의 최근 발전들과 생산적으로 대화할 수 있으며, 이는 구원론적 주제들과 기독론적 주제들을 함께 아우르는 수정된 다층적 신학적 해석을 낳는다.
At the heart of his doctrine of reconciliation, Karl Barth offers a unique but underexamined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of the prodigal son. Displaying both respect for and resistance to the interpretative paradigm for Jesus’s parables established by Adolf Jülicher, Barth’s interpretation rejects allegorical interpretation and appeals to the narrative’s literary characteristics, but it hermeneutically privileges Barth’s perception of the overall theological import of the canonical Christian Scriptures over the parable’s immediate literary context. Barth’s approach may be fruitfully set in conversation with more recent developments in parable research, including redaction-criticism and the understanding of parables as metaphorical texts, yielding a revised polyvalent theological interpretation, which brings together soteriological and christological 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