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7.1.0092
이 글은 바르트의 소명론에 영향을 받은 누가복음 수난 서사에 대한 우의적 독해가 현대의 소명들을 분별하는 데 유용한 발견법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의 전반부는 바르트의 소명 신학을 탐구한다. 바르트에게 소명은 제자의 구체적인 상황과 부르심 그 자체의 역동적이고 사건적인 성격의 변증법적 관계이다. 이처럼 제자의 소명은 주로 부르시는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의 한 형태이다. 이어서 이 글은 바르트의 소명론을 활용하여 누가복음 수난 서사에 대한 우의적 독해를 안내한다. 이러한 독해는 현재 지배적인 소명 형태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한다.
This article contends that a figural reading of Luke’s passion narrative, influenced by Barth’s account of vocation, offers a heuristic for discerning contemporary callings.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examines Barth’s theology of vocation. For Barth, one’s vocation is a dialectic of the concrete circumstances of the disciple and the dynamic, event-like nature of the call itself. Together, a disciple’s vocation is primarily a form of witness to the Christ who calls. The article then deploys Barth’s account of vocation to inform a figural reading of Luke’s passion narrative. This reading generates a renewed perception of prevailing vocational forms in the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