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7.2.0220
히브리서 6:13-20에 나타난 신학적 논증과 인내를 위한 권면은 하나님의 존재가 하나님의 완전성 그 자체임을 뜻하는 신적 단일성 개념을 포함한다. 히브리서 6:13-20에서 창세기 22:16에 기록된 주님의 자신에 대한 맹세는 하나님이 하나님의 신실성 그 자체임을 의미한다. 하나님은 맹세할 이가 자신보다 더 큰 이가 없으므로 "자신을 두고 맹세"하여 아브라함에게 "변개할 수 없는" 약속을 보장하였으며, 이 약속은 부활한 메시아의 하늘 대제사장직에서 종말론적으로 실현되었다. 본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신적 단일성 교리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논의를 개괄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영향력 있는 전통부터 신적 단일성 개념을 회복하거나 수정하거나 혹은 폐기하려는 최근의 제안들에 이른다. 두 번째 부분은 히브리서 6:13-20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전개하며, 아케다(이삭 번제)에 대한 히브리서의 독해를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의 『창세기 알레고리적 해석 3.203–208』과 비교한다. 세 번째 부분은 히브리서 6:13-20의 신학적 해석을 통해 형성된 신적 단일성 교리가 기독교적 희망에 건설적인 자원을 어떻게 제공하는지 제시한다.
The theological argumentation and exhortation for endurance in Heb 6:13–20 involves a notion of divine simplicity in which God’s being is God’s own perfections. In Heb 6:13–20 the Lord’s self-oath from Gen 22:16 means that God is God’s own faithfulness, swearing an oath “by himself,” having “none greater by whom to swear” in order to guarantee an “unchangeable” promise to Abraham that has been eschatologically realized in the heavenly priesthood of the risen Messiah.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sketches conversations past and present on the doctrine of divine simplicity, from historically influential traditions to recent proposals to retrieve, revise, or abandon simplicity. The second part develops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Heb 6:13–20, comparing its reading of the Akedah with Philo of Alexandria’s O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Genesis 3.203–208. The third part indicates how a doctrine of simplicity informed by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Heb 6:13–20 contributes constructive resources for Christian h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