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78
이 논문에서는 다원주의 시대에 성경 정경의 통일성에 대해 책임감 있고 신학적으로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신학적 실천이 정경의 통일성에 호소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방식을 살펴본다. 첫 번째 섹션의 논점은 정경의 통일성이 아닌 성경의 통일성을 다룬다. 나는 성경을 다층적 레이어, 개별 텍스트, 장르, 다원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주어진 텍스트로 구분하고, 정경을 통일성을 가진 분석적인 신학적 개념으로 구분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섹션의 신학적 논거는 성경의 다의성에 비추어 정경의 통일성에 대한 신학적 구성을 자리매김한다. 이 관계에는 몇 가지 신학적 문제가 걸려 있다. 성경의 다의성은 정경의 통일성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이 어떻게 공존하면서 각자 진리를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신학적, 철학적, 윤리적 질문을 제기한다. 진리 기준—예를 들어, 일관성과 포괄성—을 통해 다양한 신학적 제안의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안은 현대적 관심사에 대한 적합성을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정경의 통일성에 대한 신학적 판단을 형성하는 복잡한 과정은 특정한 현대적 관심사의 매트릭스 안에서 여러 통일성 제안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맥락화한다. 따라서 정경의 통일성은 다양한 맥락에서 신학적 판단을 명확히 하는 과정에 비추어 볼 때 예측적이다. 결론적으로, 통일성과 다의성은 성령에 의해 확립된 신뢰 안에서 일어나는 진리에 대한 주관적 지향 속에서 함께 파악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How can one talk responsibly and theologically about the biblical canon's unity in a pluralist age? In this article I explore a number of ways in which theological practice both appeals to and constructs the canon's unity. The argument of section one addresses biblical, not canonical, unity. I distinguish between the Bible as a given text composed of multivalent layers, individual texts, genres, and a plurality of content; and the canon as a theological concept, which is analytic with unity. The theological arguments of sections two and three situate the theological construction of the canon's unity in view of biblical multivalence. Some theological issues are at stake in this relation. Biblical multivalence opens up theological, philosophical, and ethical questions concerning how different proposals of the canon's unity can coexist, while each making claims to truth. Truth criteria—for example, coherence and comprehensiveness—can be work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viability of different theological proposals. A proposal must also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its adequacy to contemporary concerns. The complex process of forming theological judgments about the canon's unity contextualizes the selection of one proposal of unity, among others, in a particular matrix of contemporary concerns. Hence, the unity of the canon is anticipatory in view of the process of articulating theological judgments in various contexts. I conclude by proposing that unity and multivalence can be grasped together in the intersubjective orientation to truth that takes place in trust, established by the Holy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