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66
유사점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신학적 해석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성경의 영적 의미 회복을 지지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구분이 존재한다. 이 논문은 그 핵심적인 차이점이 각 그룹이 현재,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성경 텍스트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하는지에 있다고 제시한다. 영적 의미의 회복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독자들의 현재적인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더 강조하는 반면, 성경의 신학적 해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그러한 만남을 묘사하는 데 상당히 조심스러운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수정주의자 데이비드 트레이시, 후기 자유주의자 한스 프라이, 그리고 복음주의자 케빈 밴후저의 성경에 대한 신학적 해석 제안과, 성경의 영적 의미 회복에 대한 '회귀' 신학자 앙리 드 뤼박의 제안을 대조하여, 드 뤼박의 영적 의미 회복이 독자들의 현재적인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말할 수 있는 데 필요한 그리스도론적 틀을 제공한다고 제시할 것이다. 드 뤼박의 영적 의미 회복은 성경의 신학적 해석을 더욱 명확한 그리스도론적 해석학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본다.
Despite their many similarities, a division exists between proponents of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and proponents of the recovery of a spiritual sense of Scriptu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one key difference lies in the way each group articulates the relationship of the present, risen Christ to the texts of Scripture. Those who advocate a recovery of the spiritual sense typically place more emphasis on Christ's present encounter of readers, while proponents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are often quite reticent to describe such an encounter. This article will contrast the proposals for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by revisionist David Tracy, postliberal Hans Frei, and evangelical Kevin Vanhoozer with the proposal to recover Scripture's spiritual sense by ressourcement theologian Henri de Lubac in order to suggest that de Lubac's recovery of the spiritual sense provides the necessary Christological framework to speak of Christ's present encounter of readers. It is suggested that de Lubac's recovery of the spiritual sense could advance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to a more distinctly Christological hermeneu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