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24
본 논문은 신학적 해석이 공공 신학의 관심사와 문제의식과의 건설적 관여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것이라고 제안한다. 성경의 신학적 해석은 여러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지만, 성경과 세상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는 여전히 신학적 작업이 남아 있다. 이 관계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인다면 신학적 해석의 최근 공헌들에서 나타나는 일부 교회 중심적 경향이 완화될 수 있다.서론에 이어 본 논문은 세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에서는 요한계시록 21-22:5절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로 활용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공공 신학의 다섯 가지 '표지'가 제시되고 상세히 설명된다. 요한계시록 21-22:5절에 다시금 호소하면서, 논문의 두 번째 부분은 성경의 신학적 해석에서 나타나는 교회 중심적 경향을 깨뜨린다. 로버트 W. 젠슨은 성경의 교회적 이해, 그 권위 및 해석에 대한 영향력 있는 대표자로서 인용되고 분석된다. 논문의 세 번째 부분은 공공 신학과의 보다 의미 있는 교류가 교회, 선교, 그리고 세상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몇 가지 건설적인 제안을 한다. 그 과정에서 신학적 해석은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고 나아갈 수 있다.
This essay proposes that theological interpretation would have much to learn from a constructive engagement with the concerns and interests of public theology. Although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has made great advances in a number of areas, there remains theological work to be done in pro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and the world. Were greater attention to be paid to this relationship some of the ecclesiocentric strains of recent contributions in theological interpretation could be tempered. Following from the introduction, the essay has three key parts, in each of which Rev 21–22:5 is present as an imaginative stimulus. In the first part, five "marks" of public theology are set out and elaborated. Making further appeal to Rev 21–22:5, the second part of the essay disrupts ecclesial strains in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Robert W. Jenson is cited and interrogated as an influential representative of ecclesial accounts of Scripture, its authority and interpretation. The third part of the essay makes some constructive proposals for how a more meaningful engagement with public theology might reshape our vision of the church, mission, and the world. In the process, theological interpretation can be redirected and taken in new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