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32
이 에세이는 불트만의 성경 해석에 있어서의 전제의 역할에 대한 유명한 논의를 재검토한다. 해석자의 실존적 현실에 대한 불트만의 관심사를 긍정하면서도, 그가 실제로 전제했던 다른 사항들, 특히 신학적 선이해(불트만에게는 탈신화화의 필요성)와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진리를 마주하는 데 있어 성경에 특권적 역할을 부여한 점에 대해서는 침묵했다고 비판한다. 성경의 특권적 역할은 교회의 역사적인 수용과 적용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그 후, 성경과 교회의 관계의 본질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유명한 문장, "나는 가톨릭 교회의 권위가 나를 움직이지 않았다면 복음을 믿지 않았을 것이다"를 통해 탐구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 역할에 대한 이해는 현대 개념인 '개연성 구조'와 유사하다고 제시되는데, 이 구조를 통해 중요한 타인들이 사람들이 특정한 이해와 우선순위를 채택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논증은 성경과 교회의 상호 보완성을 구상하는 방식을 제시하며, 이는 역사적으로 종교 개혁 이후에 그 둘과 그 각각의 권위를 양극화하려는 특정 경향성을 극복할 가능성이 있다.
This essay revisits Bultmann's famous discussion of the role of presuppositions within biblical exegesis. It affirms Bultmann's concern with an interpreter's existential reality while criticizing his silence concerning other things that he also in fact presupposed, most obviously theological preunderstandings (for Bultmann, this was the need to demythologize) and the ascribing of a privileged role to the Bible for encountering the truth about God and humanity. It is argued that the privileged role of the Bible is a corollary of its historic reception and appropriation by the church.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e and church is then explored via a discussion of Augustine's famous sentence, "In fact I would not believe the gospel if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 Church did not move me." It is suggested that Augustine's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 church is analogous to that of the modern concept of a plausibility structure, whereby significant others enable people to adopt and maintain particular understandings and priorities. The argument offers a way of envisaging the complementarity of Bible and church that has potential to overcome certain historic post-Reformation tendencies to polarize them and their respective auth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