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51
"여호와를 경외함은 성경 정경의 모든 주요 가닥에 나타나는 모티프이지만, 신학적 가치 때문에 종종 간과된다. 이 개념은 매우 두드러짐에도 불구하고, 여호와를 경외함은 성경을 신학적으로 다룰 때 고려해야 할 주제일 뿐만 아니라, 신학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패러다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이 논문은 성경 내에서 여호와를 경외함에 대한 획일적인 설명을 문제 삼고, 신정(긍정)적 순간과 부정(부정)적 순간이 신학적 성찰의 가능성과 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증법적 하나님 담론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The fear of the Lord is a motif that makes its way into all major strands of the biblical canon, yet it is often overlooked for its theological value. As prominent as the notion is, it would appear that the fear of the Lord is not only a theme to consider when engaging the Bible theologically but one that would also serve as a paradigm for how theology should be done in the first place. In order to arrive at this juncture, this article problematizes any monolithic account of the fear of the Lord within the canon and offers a dialectical approach to God-talk in which cataphatic and apophatic moments are crucial to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ological ref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