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568
초기부터 '신앙 규칙'(Rule of Faith)이라는 표현은 교회의 기본적인 신학, 즉 성경, (세례) 전 고백, 그리고 사도적 가르침 양식에 명시된 "사도적" 가르침의 총체적 내용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초기 그리스도론 공식들과 하나의 하나님에 대한 2지 또는 3지적 기독교 신앙 고백(고린도전서 8:6; 마태복음 28:19; 1 클레멘스 46:6; 이레나이우스, Epid. 6 참조)을 바탕으로, 이 용어는 기독교 공동체 안팎에서 제기된 질문에 대한 1세기와 2세기의 응답으로 등장했다. 이레나이우스(특히 Haer. I, 10.1)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고, 더불어 테르툴리아누스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에 초점을 맞추어, 이 글은 신앙 규칙(regula fidei)의 기원을 고찰하고자 한다. 신앙 규칙의 존재는 세례 및 세례 전 가르침 양식(전통적인 그리스도 신조 자료의 사용, 바울의 Heis-Theos 신앙 고백, 그리고 신앙의 이원적 또는 삼원적 구조화)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통해 사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레나이우스 이전 시대의 '정경'(canon)이라는 용어 사용, 이레나이우스의 단일 항목, 이중 항목, 삼중 항목 고백의 결합, 그리고 이레나이우스, 테르툴리아누스, 클레멘스에게서 신앙 규칙과 성경 사이의 긴밀한 관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함께, 이러한 regula fidei의 특징들은 대체로 초기 정통 기독교 해석학이 작동했던 텍스트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서기관들의 nomina sacra 관행과 신앙 규칙 패턴 사이의 몇 가지 구조적 유사성이 발견된다.
The expression Rule of Faith was used from early on to designate the basic theology of the church—the sum content of "apostolic" teaching—as set down in Scripture, (pre)baptismal confession, and apostolic teaching patterns. Based on early Christological formularies and two- or three-limbed Christian confessions to the One God (cf. 1 Cor 8:6; Matt 28:19; 1 Clem. 46:6; Irenaeus, Epid. 6), this language emerged as a first- and second-century response to questions raised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Christian communities. With particular focus on Irenaeus (especially Haer. I, 10.1), but also on Tertullian and Clement of Alexandria, this article seeks to reflect on the origins of the Rule of Faith (regula fidei). The existence of the Rule is traced back to the apostolic period through close association with baptism and prebaptismal teaching patterns (use of traditional Christ-creed material, the Pauline Heis-Theos profession, and dyadic or triadic structuring of the faith).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pre-Irenaean use of the term canon, Irenaeus's combination of onemembered, two-membered, and three-membered confessions, and to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 of Faith and Scripture in Irenaeus, Tertullian, and Clement. Together, these features of the regula fidei constitute a textual matrix within which proto-orthodox Christian hermeneutics by and large operated. Som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the scribal nomina sacra practice and the Rule-of-Faith-pattern are noti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