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12
"애도의 값비싼 상실"에서 월터 브루그만은 현대 사회가 애도의 언어를 버리는 경향이 피해자들을 침묵하게 만들고 현상 유지를 고수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브루그만은 애도를 하나님과 시편 기도의 두 당사자 간의 관계로 묘사하며 애도의 사회적 요소를 충분히 인정하지 않는다. 이 논문은 브루그만의 주요 신학적 관심사를 다루고, 이 표현 방식이 교회적 차원에서 갖는 중요한 기능을 밝히기 위해 애도의 세 번째 당사자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더 넓은 공동체를 향한 사회적 호소는 애도를 신과의 개인적인 만남에서 심오한 사회적 맥락으로 옮겨가게 하며, 이러한 울부짖음을 듣고 신실한 응답을 분별하는 데 헌신하는 경청 공동체의 중요성을 부각한다. 사회적 요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애도의 상실로 인한 또 다른 중요한 대가를 알 수 있다. 이 표현 방식을 억압함으로써 신앙 공동체는 정의를 향한 외침에 점점 더 귀를 닫게 되고, 그 외침이 반영하는 복잡하고 모호한 의미를 분별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애도에 직면하는 성경적 수단을 없애는 것은 불의에 직면하여 귀머거리, 벙어리, 그리고 움직이지 못하는 신앙 공동체를 조성하며, 이것이 가장 값비싼 상실일 수 있다.
In "The Costly Loss of Lament," Walter Brueggemann argues that the contemporary tendency to drop lament language ensures that victims remain voiceless and the status quo unchallenged. In doing so, however, Brueggemann describes lament as involving two parties—God and the psalmist—and does not adequately acknowledge its social element. This article pays increased attention to this third party of lament in order both to address Brueggemann's main theological concern and to reveal the crucial function of this form of speech at an ecclesial level. Social address to this broader community moves lament from an individual encounter with the divine into a profoundly social context tha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 listening community committed to hear such cries and discern a faithful response. Heightened awareness of its social element reveals yet another significant cost of losing lament. By suppressing this form of speech, the faith community becomes increasingly deaf to cries for justice and loses its ability to discern the complex ambiguities they reflect. Eliminating the scriptural means of being confronted by lament fosters a deaf, dumb, and immobilized faith community in the face of injustice, which may be the most costly loss of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