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신학적 해석에 있어서의 식별, 정식화, 그리고 비례

Identifications, Articulations, and Proportions in Practical Theological Interpretation

https://doi.org/10.5325/jtheointe.14.1.0003

신학적 해석의 과제는 신학적 방법론에 얽힌 쟁점들과 이를 둘러싼 논쟁들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형성되고 규제되어야 한다. 성경을 신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성서학자들은 이 과제를 책임감 있게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방법론적 전환에 대해 종종 순진할 수 있으며, 역사 비평(들)과 신학적 해석(들)의 상이한 방법론들 밑에 깔려 있는 연구 대상의 독특한 규정들—예를 들어, 역사적 유물로서 또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에 대해 부적절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주장들의 정당화 또는 반증에 초점을 맞춘 역사 비평 방법론으로 주로 훈련된 성서학자들은 신학적 방법론이 단지 진실과 허위에만 관계하는 것이 아니라, 신학적 주장들의 건축 방식, 즉 질서, 비례, 그리고 명료한 표현의 문제들과도 관계함을 이해해야 한다. 동시에, 성서학적 기여는 성경 본문들과 그 저자들의 독특한 역사적 및 피조물적 규정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The task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should be shaped and regulated by an awareness of the issues at stake in theological method, and the debates surrounding this. Biblical scholars attempting to interpret the Bible theologically can often be naïve to the methodological shift that is required if the task is to be undertaken responsibly, and can pay inadequate attention to the distinctive identifications of the object of study—for example, as historical artifact or word of God—that underlie the different methodologies of historical criticism(s)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s). Biblical scholars who are principally trained in a historical-critical methodology focused on the justification or falsification of claims must understand that theological method is not merely concerned with truth and falsehood, but also with the architecture of theological claims, that is, matters of order, proportion, and articulation. At the same time, the biblical scholarly contribution cannot neglect the distinctive historical and creaturely identification of the biblical texts and their author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