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에서 내려옴’과 로마의 십자가형 관행

“The Descent from the Cross” and Roman Crucifixion Practice

https://doi.org/10.1163/15685365-bja10088

십자가 처형에 대해서는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측면이 연구되었지만, 십자가에서 시신을 내리는 행위에 대해서는 주목할 만한 침묵이 이어져 왔다. 미술에서는 ‘십자가에서 내림’(십자가의 길의 한 장면)과 같이 처형된 사람을 내리는 여러 장면이 표현되지만, 고대 문헌에서 이러한 행위가 어떻게 묘사되는지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실제로 고대에는 종종 시신이 십자가에 방치되었으나, 유대인들은 신명기 율법에 따라 매장하는 관습이 있었다. 다만 우리가 가진 소수의 유대어·그리스어·라틴어 자료들에서도, 시신이 내려졌다는 사실 외에 구체적인 과정은 거의 기록되지 않는다. 결국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바가 극히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Abstract While various aspects of crucifixion have been surveyed the last decades, there is a remarkable silence about the descent from the cross. In art we see various approaches to the taking down of a crucified individual (the best-known of which is “The Descent from the Cross,” one of the stations of the cross), but where do we find ancient sources on individuals being taken down from a cross? In this article, the author wants to point out that we know very little about this aspect of crucifixion. Often individuals were left to rot on the cross, but for ancient Jews it was common to bury them, based on Deuteronomistic law. The few Jewish, Greek, and Latin sources we have seldom give more information about how an individual was taken down than that someone was taken down. In effect, this article shows that we know very little about the subjec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