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11
러시아 정교회와 그리스 정교회에서는 고린도후서 11장 21절부터 12장 9절이 성 베드로와 바울 축일의 성찬예배 독서 말씀으로 사용되며, 고린도후서 11장 30절부터 12장 9절은 오순절 후 19번째 주일에 다시 읽혀진다. 이러한 독서 말씀은 동방 정교회가 바울을 해석하는 데 있어 이 구절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고린도후서 11장 21절부터 12장 9절은 바울의 고난, 다마스쿠스에서의 도피, 셋째 하늘과 낙원으로의 승천, 그리고 육체의 가시를 받은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에세이는 정교회 예배 찬송가에서 이 구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탐구한다. 특히 바울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말씀" (12:4)을 들었던 하늘로의 승천에 대한 언급은 성 베드로와 바울 축일 및 사도들의 모임 축일 찬송가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더욱이, 십자가 현양 축일과 성 안드레아 바보 축일 찬송가에서도 암시적인 언급들이 나타난다. 이 에세이는 이러한 찬송가에 내포된 신학적 해석을 탐구하고, 찬송가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풍부하고 종종 다면적인 해석 전통을 추적한다. 현대 학자들은 종종 고린도후서의 이 부분에서 바울의 승천과 같은 황홀경에 대한 논쟁을 감지하며, 따라서 고린도후서 12장 1절부터 4절이 제한적인 신학적 가치를 가진다고 본다. 대조적으로, 정교회 전통은 이 구절을 바울의 신학적 비전의 중요한 측면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에세이는 이러한 해석 전통이 현대의 구절 읽기, 특히 교회 맥락에서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으로 결론을 내린다.
In Russian and Greek Orthodox churches, 2 Cor 11:21–12:9 serves as a lectionary reading for the Divine Liturgy on the Feast of Sts. Peter and Paul, and 2 Cor 11:30–12:9 is read again on the 19th Sunday after Pentecost. These lectionary rea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this passage for the Eastern Orthodox Church's construal of Paul. 2 Corinthians 11:21–12:9 tells of Paul's suffering, his flight from Damascus, his ascent to the third heaven and paradise, as well as his reception of a thorn in the flesh. This essay explores the use of this passage in the hymns of the Orthodox liturgy. References to the passage, especially Paul's ascent to heaven where he heard "ineffable words" (12:4), feature prominently in hymns for the Feast of Sts. Peter and Paul and the Feast of the Synaxis of the Apostles. Moreover, allusions also occur in hymns for the Exaltation of the Cross and the Feast of St. Andrew the Fool. The essay explores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s implied by these hymns, and it traces the rich and often multifaceted traditions of interpretation that inform the language of the hymns. Modern scholars frequently detect a polemic against ecstatic experiences such as Paul's ascent in this portion of 2 Corinthians and thus view 2 Cor 12:1–4 as having limited theological value. The Orthodox tradition, by contrast, interprets the passage as revealing crucial aspects of Paul's theological vision. The essay concludes by suggesting ways this tradition of interpretation might transform contemporary reading of the passag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