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적이고 참여적인 역사: 아우구스티누스의 '하나님의 도성'

Linear and Participatory History: Augustine's "City of God"

https://doi.org/10.2307/26421423

이 에세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구조에 대한 분석을 제공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Firmus에게 보낸 편지에서 밝힌 작품의 다섯 부분에 대한 그의 설명을 바탕으로, 나는 이 다섯 부분이 아우구스티누스가 이교도적인 역사 및 그 신들에 대한 이해를 변형시키려는 시도임을 제시한다. 로마인들은 자신들과 마찬가지로 명성과 쾌락과 같은 선형적 역사적 목표를 추구하는 신들을 숭배했지만, 플라톤 철학자들은 선형적 역사를 거부하고 초월적인 신에게로 참여적인 상승을 추구했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는 어느 관점도 적절하지 않았기에, 그는 『신국론』의 마지막 세 부분에서 우리를 영원한 생명으로 부르시는 창조주 하나님과 관련된 역사 속의 상호 연결된 선형적이고 참여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이 에세이는 내 2008년 저서 『참여적 성경 해석』의 논제에 대한 배경을 제공하며, 현대 성경 학자들과 신학자들이 방법론을 현대성의 엄격하게 선형적인 (이교도적인) 역사관에 기반하는 대신,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성경에 적합한 선형적이고 참여적인 역사 이해를 주장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고 제안한다.

This essay offers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Augustine's City of God. Building on Augustine's identification of the five parts of his work (in a letter he wrote to Firmus), I suggest that these five parts show Augustine to be undertaking a transformation of pagan understandings of history and its gods. Whereas the Romans worshiped gods who, like the Romans themselves, sought linear-historical goals such as fame and pleasure, Platonic philosophers rejected linear history and sought instead a participatory ascent to the transcendent God. Neither view of history would do for Augustine, who instead offers in the final three parts of City of God a demonstration of the interconnected linear and participatory aspects of history in relation to the Creator God who calls us to eternal life. This essay provides background to the thesis of my 2008 book Participatory Biblical Exegesis and proposes that contemporary biblical scholars and theologians, rather than grounding their methods in an acceptance of modernity's strictly linear (pagan) view of history, can learn from Augustine how to argue for a linear and participatory understanding of history adequate to Scriptur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