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5.2.0233
누가복음 비유(누가복음 10:30–35)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인"은 이방인 포용을 위한 암호로 기능하기보다 "성경적 이스라엘"의 회복이라는 비전에 기여한다. 우리는 누가가 자신의 두 권짜리 저작에서 사마리아와 사마리아인들을 포함하는 이스라엘 회복에 대한 포괄적인 비전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매튜 챌머스(JBL, 2020)의 연구에서 추진력을 얻고, 1세기 유대인-사마리아인 관계에 대한 역사적 재구성과 누가복음 및 사도행전 전반에 걸친 사마리아인들에 대한 서사적 독해로부터 탄력을 받는다. 누가-사도행전에서 사마리아 또는 사마리아인에 대한 각 언급을 다룸으로써, 우리는 누가가 사마리아인들을 이스라엘의 일부로 일관되게 상정하며, 그들의 서사적 존재가 하나님의 백성의 논쟁적인 경계를 나타낸다는 점을 입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를 읽는 것은 그 주된 초점이 교리적(누가 하나님의 백성에 속하는가)이며, 오직 이차적으로만 윤리적(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임을 시사한다.
Rather than functioning as a cipher for gentile inclusion, the “good Samaritan” in the Lukan parable (Luke 10:30–35) contributes to a vision of the restoration of “biblical Israel.” We argue that Luke has a comprehensive vision for Israel’s restoration in his two-volume work: restoration that includes Samaria and Samaritans. Our exploration takes its impetus from the work of Matthew Chalmers (JBL, 2020) and gains traction from historical reconstructions of first-century Jewish-Samaritan relations and from a narrative reading of Samaritans across Luke and Acts. By addressing each reference to Samaria or Samaritans in Luke-Acts, we demonstrate that Luke consistently envisions Samaritans as part of Israel, even as their presence in the narrative represents the contested boundaries of the people of God. Reading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n this light suggests that its primary focus is ecclesiological (who belongs to God’s people) and is, only secondarily, ethical (how God’s people should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