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육신과 변모: 오리게네스의 하강 신학

Incarnation and Transfiguration: Origen’s Theology of Descent

https://doi.org/10.5325/jtheointe.12.2.0200

본 논문은 오리게네스의 변모 해석에 있어 성육신의 해석학적 중요성을 탐구한다. 먼저 오리게네스의 성육신 신학을 제시하고, 그리스도의 '에피노이아이'와 '폴리모르피아' 교리가 신적 겸하(condescension)의 발현으로서 신적 관계성과 역동성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성육신에 대한 이러한 이해가 오리게네스의 변모 해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며, 그의 영적 상승 강조가 신적 겸하 신학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고 시사한다. 변모에 대한 그의 케노시스적(kenotic) 해석에 근거하여, 오리게네스의 신적 겸하 강조가 모든 개인이 하나님과의 영적 연합을 이룰 수 있는 필수적인 수단으로서 육체적 존재를 긍정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hermeneutical significance of the Incarnation for Origen’s interpretation of the transfiguration. I first present Origen’s theology of the Incarnation, arguing that his doctrines of the epinoiai and polymorphia of Christ, as manifestations of the divine condescension, suggest a divine relationality and dynamism. I will then illustrate how this understanding of the Incarnation informs Origen’s interpretation of the transfiguration, suggesting that his emphasis on spiritual ascent is balanced by his theology of divine condescension. Based on his kenotic interpretation of the transfiguration, I argue that Origen’s emphasis on divine condescension affirms physical existence as the necessary means by which every individual can attain spiritual union with God.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