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77
초기 선교사들은 자립적인 교회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즉, 자립 재정, 자립 전도, 자립 운영이 가능한 교회를 말한다. 이제는 교회가 독립적이려면 스스로 신학을 정립해야 한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나는 여기서 교회가 특정 지역에 세워졌기 때문에, 그 지역 사람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성경을 해석하기 위해 자신만의 해석학적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신학적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세계 교회와 대화할 수는 있지만, 그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확립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들은 시대의 신학적 담론을 이어갈 뿐만 아니라, 교회의 오랜 전통에도 참여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될 것이다. 그들의 해석학적 관행은 유럽과 미국이 발전시켜온 관행과 어떻게 다를 수 있을까? 시작으로, 나는 구술 문화, 식민지화, 문화적 다양성, 그리고 사회 조직이 해석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것을 제안한다.
An earlier generation of missionaries set as their goal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churches: self-supporting, self-propagating, and self-governing. Now it is becoming clear that, to be independent, a church should also be self-theologizing. I argue here that, because a church is established in a particular location, the people must look to their own hermeneutical principles in order to interpret Scripture in that context. As their own theological project develops, although they may be in conversation with the universal church, they will establish their own distinctives. Then they will be in a position to continue the theological discourse of the age as well as engage the long tradition of the church. How might their hermeneutical practices differ from the practices that Europe and America have developed? As a beginning, I suggest that we consider the impact of orality, colonization,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organization on hermeneu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