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4.2.0246
서사 신학은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서사적인 것으로서 새롭게 조명해왔다. 성경 텍스트의 통일성을 이해하는 유용한 방법은 성경 전체의 총체적인 메타내러티브를 인식하는 데 있다. 이것이 기독교 신학의 다양한 차원에 적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성령에 대한 서사적 주목은 미미했다. 본 논문은 서사 신학의 적용을 통해 서사적 성령론의 시론적 구성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기독교 경전을 통해 하나님의 영의 주요 움직임을 고찰하여, 성령론의 교리뿐만 아니라 성경 전체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성령의 서사를 구성한다. 서사 신학과 다른 해석학적 및 방법론적 고려 사항들에 대한 논의를 거쳐, 본 논문은 다음의 서사적 틀을 제시한다: (1) 성령, 창조에 생명 부여, (2) 성령, 인류를 떠남, (3) 성령, 이스라엘에게 권능 부여, (4) 성령, 이스라엘을 떠남, (5) 성령, 메시아를 통해 돌아옴, (6) 성령, 창조를 재소생시킴. 본 논문은 이러한 접근 방식이 성령론에 미치는 가능한 함의뿐만 아니라 추가 연구가 필요한 다른 방향을 제시하며 결론짓는다.
Narrative theology has brought a renewed focus to the nature of the Christian faith as a storied one. A helpful way to understand the unity of the biblical texts is through seeing an overarching metanarrative to the Bible. While this has been applied to various dimensions of Christian theology, it seems little narrative attention yet has been given to the Holy Spirit. This article will offer an initial construction of a narrative pneumatology through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theology. The essay will examine the major movements of the Spirit of God through the Christian Scriptures to construct a narrative of the Spirit that can aid in understanding both the doctrine of pneumatology as well as the biblical story as a whole. After a discussion of narrative theology and other interpretive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the article will offer the following narrative framework: (1) Spirit Vivifies Creation, (2) Spirit Departs Humanity, (3) Spirit Empowers Israel, (4) Spirit Departs Israel, (5) Spirit Returns through Messiah, (6) Spirit Revivifies Creation. The contribution will conclude with possible implications of such an approach for pneumatology as well as other avenues needing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