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신학적 해석을 위한 탁월성의 기준들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Standards of Excellence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https://doi.org/10.5325/jtheointe.14.2.0149

성경 정경은 은혜의 경륜과 교회의 선교라는 그 본질과 목적을 고려할 때 독특하다. 따라서 성경 읽기는 일반적인 독서 방식과 완전히 다르지는 않지만, 독특해야 한다. 본고는 특별히 성경의 신학적 해석에 적합한 탁월함의 기준에 대한 제안을 제시한다. 즉, “좋은 성경의 신학적 읽기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성경의 신학적 및 교회적 지위와 그 수용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 후, 본고는 탁월한 신학적 해석을 위한 두 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신학적 기준이며, 교회의 삶 속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경을 향한 목적과의 관계에 비추어 제안된 읽기를 평가한다. 두 번째는 해석학적 기준이며, 특별히 문학적 또는 텍스트적 기준에 따라 제안된 읽기를 평가한다. 이 후자들은 더 일반적인 학문적 독서 방식과 중복되지만, 여전히 독특하게 기독교적이다. 더욱이 그것들의 부차적 지위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자 교회의 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이를 강조한다.

The canon of Holy Scripture is unique, given its nature and ends in the economy of grace and the mission of the church. Its reading must accordingly be unique, though not wholly dissimilar to ordinary practices of reading. This article advances a proposal for the standards of excellence proper to specifically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That is, it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makes a theological reading of the Bible good?” Following an overview of the theological and ecclesial status of Scripture and its reception, the article offers two sets of standards for excellent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e first is theological, measuring the proposed reading by its relation to the triune God’s purposes for Scripture in the life of the church. The second is hermeneutical, judging the proposed reading by specifically literary or textual criteria. These latter overlap with more common scholarly practices of reading, though they remain distinctively Christian; their secondary status, moreover, emphasizes the difference made by Scripture’s character as God’s word and the church’s book.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