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52
이 에세이는 요한복음에 나타난 말씀(Word of God)에 대한 다층적인 이해의 윤곽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층위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아버지로부터 보내심을 받은 영원한 성육신하신 말씀이며, 그에게 주어진 일을 성취하고, 자신의 생명을 내어놓아 그의 것, 즉 그의 말씀을 받아들임으로써 그를 영접하는 자들이 생명을 얻게 한다. 그러나 다른 층위에서, 요한복음은 (1) 성육신하신 말씀과는 구별되는, 말씀에 대한 증거이며, (2) 영화롭게 된 말씀의 지속적인 말씀이다. 이를 통해 성령에 의해 그는 여전히 자신의 것들과 함께 거하며, 그들은 그를 "보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말씀을 받는다. 따라서 사랑받는 제자와 그의 기록된 증언인 요한복음은 성육신하신 말씀과 유사하며, 동시에 그의 종으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개략은 전통적인 교리적 공식과 유사하지만, 요한복음의 주제와 문학적 차원에 주의를 기울여 요한복음 특유의 어법으로 구체화된다.
This essay attempts to sketch the contours of the multileveled understanding of the Word of God in the Fourth Gospel. On one level, Jesus Christ is the eternal, incarnate Word sent from the Father, who accomplishes the work given to him, laying down his life so that his own, those who receive him by receiving his words, might have life. Yet, on another level, the Fourth Gospel is both (1) distinct from the incarnate Word, a witness to the Word, and (2) the continuing speech of the glorified Word through which, by the Spirit, he continues to dwell with his own, who receive his words even though they are unable to "see" him, so that the Beloved Disciple and his written testimony, the Fourth Gospel, are analogous with, even while servant to, the incarnate Word. Although this sketch resembles traditional dogmatic formulations, it is fleshed out in Johannine idiom, paying attention to the themes and literary dimensions of the Fourth Gosp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