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을 '이해하는 법' 재조명

Reunderstanding How to "Understand the Scripture"

https://doi.org/10.2307/26421344

요한복음 20장 9절에서 제자들이 빈 무덤을 발견했을 때, 본문은 이 발견에 대해 수수께끼 같은 해설을 제시한다: "이는 그들이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야 할 것을 성경에서 알지 못하였음이라." 이 해설은 구약성경에 대한 특정한 이해를 전제하지만, 요한복음 본문 내에서 구약성경의 특정 구절을 직접적으로 지칭하지 않아 그 언급이 어렵고 혼란스럽다. 하지만 해답을 제공하는 것은 광범위한 초월적 서사적 주제나 명시적으로 표시된 구약성경 인용문이 아니다. "표시된" 구약성경 인용문 중에는 부활에 관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 해답은 나사로를 살리는 이야기에서 나온다. 이 이야기(요한복음 11:38-44)로부터 세 가지 제안이 요한복음 20장 9절의 의미를 명확히 한다. (1) 나사로 이야기에서 예수님은 시편 118편 5, 21, 28절을 인용한 "기도"를 명시적으로 드린다 (요한복음 11:41-42). (2) 저자는 더 나아가 인용문의 맥락에서 익숙한 그리스도론적 상징인 돌의 비유를 끌어내어 시편 118편을 활용한다. (3) 익숙하지만 재구성된 상징인 돌은 나사로 이야기와 부활 이야기를 문학적으로 연결하고, 이 연결을 통해 요한복음이 어떻게 이 하나의 구약성경 구절에서 부활을 읽어내는지 보여준다.

When the disciples discover the empty tomb in John 20:9, the text offers a puzzling commentary on this discovery: "For they did not yet understand the scripture, that it was necessary that he rise from the dead." This commentary assume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OT yet does not point to a particular reference of the OT in the text of John, making this reference a difficult and confusing one. It is not, however, a sweeping transnarrative theme or an explicitly marked quotation of OT Scripture—none of the "marked" OT quotations concern the resurrection—that offers an answer to the puzzling comment. Rather, the solution comes out of the story of the raising of Lazarus. From this pericope (John 11:38–44), three proposals clarify the meaning of John 20:9. (1) In the Lazarus story, Jesus explicitly "prays" (John 11:41–42) a quotation of Ps 118:5, 21, 28. (2) The author further utilizes Ps 118 by drawing out the metaphor of the stone, a familiar Christological symbol, from the context of the quotation. (3) The stone, as a familiar but reconstituted symbol, literarily connects the Lazarus story with the resurrection story, and, by this connection, shows how the Gospel of John reads the resurrection from this one OT Scriptur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