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4.2.0267
동정녀 탄생 주제는 성경의 신학적 해석 안에서 비판적 성경 연구와 신조적 전통 사이의 관계를 시험하는 사례가 될 수 있다. 그러한 해석에 대한 상이한 접근법들은 앤드류 링컨의 단행본 『동정녀에게서 태어났는가?』와 그 책에 대한 올리버 크리스프의 『교리 분석하기』에 나타난 비판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이 글에서 링컨은 크리스프에 대한 응답으로 그들의 몇 가지 이견을 탐구하며 논의를 이어간다. 이 글은 크리스프가 링컨의 신학적 해석 유형을 시대착오적 오류에 대한 두려움에 지배된 것으로 잘못 기술하며, 반면에 크리스프 자신은 전통적인 교리가 아닌 동정녀 탄생의 형태를 무심코 옹호한다고 주장한다. 문자적 동정녀 잉태 없는 완전한 성육신적 기독론과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간성을 표명하는 힘으로 후대 교리를 해석하려는 링컨의 제안에 대한 크리스프의 신학적 반박 시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논의는 성경학적 지식과 신학적 기술을 결합한 결과가 관련된 성경 및 신학 연구의 유형에 필연적으로 좌우됨을 상기시키며, 동정녀 탄생과 관련하여 크리스프의 분석 신학 유형이 성경 본문과 신조적 고백의 역사적, 문화적 차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시사한다.
The topic of the virgin birth can provide a test case for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biblical scholarship and creedal tradition within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Divergent approaches to such interpretation are evident in Andrew Lincoln’s monograph, Born of a Virgin? and Oliver Crisp’s critique of that book in his Analyzing Doctrine. In this article Lincoln continues the discussion in a response to Crisp that explores some of their disagreements. It argues that Crisp misrepresents Lincoln’s type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as dominated by a fear of anachronism, while Crisp himself unwittingly defends a version of the virgin birth that is not the traditional doctrine. Crisp’s attempted theological refutations of Lincoln’s proposals for a fully incarnational Christology without a literal virginal conception and for an interpretation of the later dogma in terms of its force of signaling Christ’s full humanity are shown to be deficient. The exchange serves as a reminder that the result of bringing together biblical scholarship and theological skills will inevitably depend on the types of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y involved and suggests that, in relation to the virgin birth, Crisp’s version of analytic theology fails to do justice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dimensions of biblical texts and creedal affirm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