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기독교 정경, 그리고 공동체: 신학적 해석을 정경적으로 재고하기

Scripture, Christian Canon, and Community: Rethinking Theological Interpretation Canonically

https://doi.org/10.2307/26421306

지난 몇 세기 동안 성경 연구 분야를 지배해 온 전통적인 접근 방식은 해석의 과제를 텍스트 의미의 역사적 이해로 향하게 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신학과 주어진 성경 구절 또는 책에 대한 관심사를 알려주었고, 그 결과 최근 수십 년간의 학술적 연구는 주로 텍스트 '배후' 또는 '내부'에서 발견되는 것으로서의 신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성경 정경은 성경 연구가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경계와 범주를 제공하지만, 기독교 정경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성경 해석, 특히 이러한 성경 텍스트의 신학적 해석 영역 내에서 제한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 에세이는 기독교 정경이라는 개념이 성경의 신학적 해석에 실질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기독교 정경의 "해석학"이라고 부를 수 있는 문제들을 고려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기독교 정경이라는 신학적 개념이 신학적 해석의 과제를 정의하는 세 가지 방식을 고려한다. 첫째, 기독교 정경은 개별 성경 책의 해석을 위한 다른 문학적, 해석적 맥락을 창출하는데, 이는 원래의 수용 맥락 내에서 가능한 텍스트 간 연결 외에도 잠재적인 텍스트 간 및 정경 내 연결을 유발하는 맥락이다. 둘째, 기독교 정경은 기독교 신앙 공동체를 신학적 해석이 일어나는 장소로 가정한다. 셋째, 기독교 정경이라는 개념은 교회의 맥락에서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배후의 목표가 신앙 공동체가 성경 텍스트에 대한 해석을 신앙과 실천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Traditional approaches that have dominated the landscape of biblical studies in recent centuries have directed the interpretive task to historical understandings of textual meaning. These approaches have informed interests regarding theology and a given biblical passage or book, so that scholarly treatments in recent decades have focused mostly on theology as something to be found behind or in that text. Although the biblical canon provides general boundaries and categories within which biblical scholarship has done its work,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Christian canon has had a limited role within the arena of biblical interpretation and, in particular,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se biblical texts. This essay asserts that the notion of Christian canon has a substantive role in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e first part considers issues in what may be called the "hermeneutics" of Christian canon. The second part considers three ways that this theological notion of Christian canon defines the task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First, the Christian canon creates a different literary and interpretive context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se individual biblical books—a context that provokes potential intertextual and intracanonical connections in addition to intertextual connections available within the original reception context(s). Second, Christian canon assumes the Christian faith community as the place wher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ccurs. Third, the notion of Christian canon assumes that the objectives behind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Bible in its ecclesial context includes how the faith community lives out her interpretations of biblical texts in faith and practic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