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윤리를 위한 시편의 토라적 독해

Reading the Psalms as Torah for Social Ethics

https://doi.org/10.5325/jtheointe.15.2.0203

본 연구는 시편의 첫 번째 책(시편 1-41편)에 있는 개인 탄식 시편들을 신학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편을 사회 윤리를 위한 토라로 읽는 것은 불협화음이거나 양립 불가능하다고 인식되어 온, 이 시편들을 해석하는 두 가지 접근법을 결합한다. 시편에 대한 신학적 해석은 신앙 공동체를 위한 시편의 최종 형태가 가지는 경건적이며 교훈적 역할에 초점을 맞춘다. 시편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시편이 독자와 청자에게 미치는 사회-수사학적 효과를 부각한다. 이 두 가지 관점은 모두 시편을 정경적으로 읽는다고 주장하지만, 그 목적은 상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접근법이 개인 탄식 시편들을 어떻게 해석해왔는지 비교하고, 이들을 조화시키기 위한 제안으로 결론을 맺는다.

This study aims to theologically interpret the individual lament psalms in the first book of the Psalter (Pss 1–41). Reading the Psalms as Torah for social ethics combines two approaches to interpreting these psalms that have been perceived as dissonant or incompatibl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salms has focused on the devotional and instructional role of the final form of the Psalms for the community of faith. Sociological approaches to the Psalms highlight the socio-rhetorical effects of the Psalms upon their readers and hearers. Both of these views claim to read the Psalms canonically yet with differing ends. In this article I will compare how these two approaches have interpreted the individual lament psalms, and I will conclude with a proposal to harmonize them.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