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15
복음서 독자층에 대한 논쟁이 일어난 후에, 이 글은 정경적, 역사적 고려 사항에 의해 제약되고 풍성해진 명시적인 신학적 복음서 해석에 참여하는 한 가지 방식을 보여준다. 마가복음의 많은 부분에 "새로운 출애굽/새로운 창조" 개념이 암묵적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보는 학자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이 글은 독자층이 고린도전서의 근간을 이루는 바울의 "새로운 창조" 신학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간주할 경우, 이 이야기의 일부(1:1–11, 15:33–16:8)를 어떻게 들을 수 있을지 묻는다. 이러한 해석적 움직임은 마가복음이 예수의 중요성을 성경적 매트릭스, 즉 이사야가 창세기 및 출애굽기와 나누는 "대화" 내에서 명확히 밝히려는 시도라고 가정한다. 이 고린도전서 독자층은 마가복음이 더 넓은 성경적 매트릭스 내에서 예수의 중요성을 명확히 밝히려는 시도를 촉진하기 위한 정경 내적, 해석학적 구성물이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 드러나는 마가복음 해석은 예수가 복음서 전체에서 새로운 창조를 이루어 나갈 때 성령으로 미리 세례를 베푼다고 주장한다. 십자가 처형 시, 성령은 예수에게서 성전(구 질서/세상의 축소판)으로 이동하여 그 종말을 의미하는 바깥 휘장을 찢고, 성령은 새로운 창조의 축소판으로서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일으킴으로써 예수의 사역을 계속한다.
In the wake of the debate on Gospel audiences, this article illustrates one way of engaging in an explicitly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a Gospel, constrained and enriched by canonical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Building on the arguments of scholars who see "new exodus/new creation" concepts implicitly underlying much of Mark, it asks how portions of this narrative (1:1–11, 15:33–16:8) might be heard if we construe the audience as having been shaped by Paul's theology of "new creation" that underlies 1 Corinthians. This interpretive move assumes that Mark is an attempt to articulate the significance of Jesus within a scriptural matrix, that is, within Isaiah's "conversation" with Genesis and Exodus. This 1 Corinthians audience is an intracanonical, hermeneutical construct intended to further Mark's attempt to articulate the significance of Jesus within a broader scriptural matrix. The reading of Mark that emerges contends that Jesus proleptically baptizes with the Spirit as he forges a new creation throughout the Gospel; at the crucifixion, the Spirit moves from Jesus into the temple (a microcosm of the old order/cosmos) to split the outer curtain signifying its end; and the Spirit continues Jesus' work by raising him from the dead as a microcosm of the new cre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