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다른 전쟁: 신명기 20:1–14와 누가복음 10:1–24 간의 대화

A Different Kind of War: Deuteronomy 20:1–14 and Luke 10:1–24 in Dialogue

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171

성경 기록에는 신이 승인한 폭력을 조장하는 구절들이 가득하다. 전근대 시대에는 선호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대체로 너무 자의적이라고 여겨지는 기독교 해석 전략 중 하나는 이러한 율법과 전쟁 이야기들을 보이지 않는 악의 세력과의 전투를 묘사하는 것으로 보고자 하는 것다. 본 논문은 누가복음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적 메아리에 초점을 맞춰 이 해석학적 접근법을 강화하려고 시도한다. 본 논문은 신명기 20장 1-14절에 나오는 적대적인 도시에 대한 이스라엘의 군사 전략과 누가복음 10장 1-24절에 나오는, 예수께서 명령하신 왕국 선포를 위한 선교 지침이라는 두 가지 지침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전쟁 규칙과는 대조적으로 누가복음의 기록은 예수의 제자들이 마주하는 도시들에 비폭력적으로 접근하고 그들의 상상 속 칼을 영적 적들에게 돌리도록 장려한다고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탐구된 상호텍스트적 연결이 역으로도 기능하여 성경의 전쟁 이야기들을 해석하는 데 있어 은유적 독해를 지속 가능한 선택지로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assages promoting divinely approved violence permeate the biblical account. One Christian interpretative strategy, favored in premodern times but largely considered too arbitrary today, attempts to view these laws and stories of war as depicting battles against invisible forces of evil. This article attempts to strengthen this hermeneutical approach by focusing on a possible intertextual echo in Luke’s Gospel. It compares two sets of instructions—Israel’s military strategy against hostile cities in Deut 20:1–14 and the missionary blueprint, commanded by Jesus, for proclaiming the kingdom in Luke 10:1–24—and proposes that, in contrast to Israel’s rules for warfare, Luke’s account encourages Jesus’s disciples to approach the encountered cities nonviolently and turn their imagined swords against spiritual enemies. Consequently, the study suggests that the explored intertextual link might also function contrariwise and contribute toward establishing the metaphorical reading as a lasting option for interpreting biblical war narrative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