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초기 기독교 에큐메니즘의 실천

Acts and the Praxis of Early Christian Ecumenism

https://doi.org/10.5325/jtheointe.14.2.0226

본 논문은 사도행전에 표현된 실천적 에큐메니즘에 대한 연구이다. 교회의 이야기를 전하는 유일한 정경 서사인 사도행전은 언제나 교회 정체성 성찰의 핵심 텍스트였다. 그러나 사도행전의 교회론적 비전 중 우리 시대에 특히 관련이 깊은 한 가지 특징은 거의 연구되지 않고 있다. 즉, 사도행전이 초기 기독교 생활의 특징인 차이를 어떻게 실질적으로 다루는가 하는 점이다. 사도행전뿐만 아니라 초기 기독교 역사를 표면적으로만 보아도 교회적 차이가 초기 기독교 생활에서 만연하고 종종 골치 아픈 사실이었음이 명확해진다. 실제로 F. C. 바우어 시대 이래로 사도행전은 교회적 불화 상황을 치유하려는 수사학적 시도로 대체로 이해되어 왔다. 비록 누가 공동체가 직면한 정확한 분열과 문제들은 다양하게 이해되어 왔지만 말이다. 최근의 사도행전 연구들은 누가의 비전이 지닌 신학적 특성을 올바르게 강조해왔는데, 이에 따르면 교회의 정체성과 증언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에 근본적으로 기반을 둔다. 그러나 실질적인 질문은 남는다: 지리적, 민족적, 신학적 차이로 분리된 그러한 공동체들이 어떻게 스스로를 하나의 교회로 이해하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본 논문은 누가의 이야기 속에서 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이 실질적으로 표현된 실천적 에큐메니즘을 밝히고, 누가의 이러한 실천에 대한 관심이 사도행전을 그 자체로 에큐메니컬 문서로 특징짓는 핵심 자료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in practical ecumenism as expressed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s the only canonical narrative to tell the story of the church, Acts has always been a key text for reflection upon ecclesial identity. Yet one feature of the ecclesiological vision of Acts, which is particularly relevant for our time, remains largely unstudied: how does Acts deal practically with difference as a characteristic of early Christian life? A surface reading of Acts, as of early Christian history generally, makes clear that ecclesial difference was a pervasive and often troubling fact of life in early Christianity. Indeed, since the time of F. C. Baur, Acts that is particularly relevant for our time remains largely understood as a rhetorical attempt to remedy a situation of ecclesial discord, though the precise divisions and troubles facing the Lukan community have been variously understood. Recent studies of Acts have rightly stressed the theological character of Luke’s vision, according to which the church’s identity and witness are fundamentally grounded in its life in Christ. Yet the practical question remains: how did such communities, separated as they were by geographic, ethnic, and theological differences, come to understand themselves as one church? This article charts the practical ecumenism according to which, in Luke’s telling,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church was given tangible expression, and it argues that Luke’s attention to these practices provides key data for characterizing Acts as an ecumenical document in its own righ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