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5.1.0001
루터의 첫 시편 강의는 초기 중세 주석가 카시오도루스를 자주 인용한다. 그의 두 번째 시편 강의 서두에서, 루터는 카시오도루스의 주석이 비문자적 성격을 띠므로 그의 주석적 접근 방식으로부터 거리를 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의 선별된 시편 저작물 비교는 지속적이고 뿌리 깊은 유사성을 보여준다. 즉, 루터는 카시오도루스와 마찬가지로 시편 읽기가 철저히 형성적이라고 주장하며, 시편 주석이 반드시 기도로 귀결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 연구는 시편에 내재된, 외래적인 것이 아닌 특징들이 두 해석자 모두에게 이러한 주석적 충동을 유발한다고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시편의 현대 신학적 해석에 대한 함의를 간략하게 제시하며 마무리한다.
Luther’s first Psalms lectures frequently cite the early medieval commentator, Cassiodorus. At the outset of his second Psalms lectures, Luther distances himself from Cassiodorus’s exegetical approach due to the nonliteral nature of his exegesis. Nevertheless, comparisons of selected Psalms writings by the two men demonstrate an ongoing, deep-seated similarity; Luther maintains with Cassiodorus a reading of Psalms which is thoroughly formational, urging that Psalms exegesis necessarily culminate in prayer. I will suggest that features ingredient to the Psalter, not foreign thereto, motivate this exegetical impulse for both interpreters. Finally, the study will conclude by briefly proposing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sa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