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 신화(테오시스)에 관한 최초의 기독교 논문

Romans: The First Christian Treatise on Theosis

https://doi.org/10.2307/26421350

이 논문은 데오시스(신화, Theosis)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과 특히 바울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난 것을 바탕으로, 로마서가 최초의 기독교 데오시스 논문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2 Corinthians에서 발견되는 "교환"(Morna Hooker) 구절을 포함하여, 데오시스에 대한 초기 구절들을 정교하게 발전시킨 것이다. 바울의 데오시스에 대한 기존 연구는 데오시스가 성육신하시고,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부활/영화롭게 되신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을 통해 성령으로 가능해진, 케노시스적(자기 비움), 십자가 형태의 하나님의 성품에 참여하여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제시한다. 이 논문은 바울의 구원론에서 인간의 디카이오쉬네(righteousness, 의)와 독사(doxa, 영광)를 회복시키는 것, 즉 데오시스의 근본적인 요소들을 로마서에서 추적한다. 바울에게 있어 이러한 회복은 순종하고 신실한 아들의 죽음과 부활에 참여함으로써 성취된다. 이는 "의롭게 된", 십자가 형태의 그리스도와 같은 하나님다움을 지닌 공동체 안에서 드러나며, 이 공동체 안에서 이방인과 유대인은 하나님의 최종 영광을 부분적이고 선취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적어도 암묵적으로는 로마의 거짓된 영광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함께 하나님을 영화롭게 한다.

Building on renewed interest in theosis generally, and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Paul, this essay argues that Romans is the first Christian treatise on theosis, an elaboration of the embryonic passages about theosis, including the "interchange" (Morna Hooker) texts, found in 2 Corinthians. Earlier work on theosis in Paul suggests that it means transformative participation in the kenotic, cruciform character of God through Spirit-enabled conformity to the incarnate, crucified, and resurrected/glorified Christ. This essay traces Paul's soteriology of restoring human dikaiosynē and doxa—fundamental elements of theosis—in Romans. For Paul, this restoration is accomplished by participation in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the obedient and faithful Son. It is manifested in "righteoused," cruciform communities of Christlike Godlikeness in which Gentiles and Jews glorify God together as a partial and proleptic foreshadowing of the final glory of God and, at least implicitly, as a counterpoint to the pseudo-glory of Rom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