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571
다음 에세이는 신학적 해석의 유용성을 강조하여 신학적 확신과 주석적 확신 사이의 역사적 긴장을 해결하는 주해 방법론 실험이다. 로마서 2:6-11절의 오랜 주석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새로운 신학적 범주 (존재론적-윤리적 수사)를 소개한다. 이전 접근 방식의 역사와 함께 이러한 어려움을 면밀히 검토한 후, 초기 기독교 및 고대 유대 문학의 예시를 통해 존재론적-윤리적 담론의 윤곽을 그릴 것이다. 존재론적-윤리적 담론은 존재론적 실체 또는 특성에 대한 언급과 그에 상응하는 도덕적 중요성을 결합하고, 둘 다 존재론적 언급에서 전달된다고 가정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서구 의식에 전형적인 존재론적-신학적 전제는 역사적으로 존재론적-윤리적 수사의 역학을 가려왔다는 것을 제시할 것이다. 이 수사를 설명한 후, "불멸"의 의미 영역에 특별한 중점을 두고, 로마서 2:6-11절로 돌아가서 불멸에 대한 바울의 존재론적-윤리적 이해에 대한 민감성이 이 본문을 둘러싼 많은 어려움을 해결하고 복음 선포에서 행위와 보상이 적절히 자리매김되는 것에 대한 바울의 이해에 대한 중요한 신학적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The following essay is an experiment in exegetical method accenting the utility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in resolving historic tensions between theological and exegetical convictions. It introduces a new theological category (onto-ethical rhetoric) as a means of addressing some longstanding exegetical difficulties in Rom 2:6–11. After canvassing those difficulties along with the history of previous approaches, the contours of onto-ethical discourse will be charted through examples from early Christian and ancient Jewish literature. We will see that onto-ethical discourse marries a reference to an ontological entity or quality with its corresponding moral significance, and assumes both are communicated in the ontological reference. It will be suggested that the onto-theological presuppositions typical of western consciousness have historically blinded us to the dynamics of onto-ethical rhetoric. After describing this rhetoric,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semantic domain of "immortality," we will return to Rom 2:6–11 and see how sensitivity to Paul's onto-ethical understanding of immortality can solve many of the difficulties surrounding this text and yield some important theological insights into Paul's understanding of the proper place for works and rewards in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