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티 포사이스, 성경, 그리고 복음의 위기

P. T. Forsyth, Scripture, and the Crisis of the Gospel

https://doi.org/10.2307/26421313

이 글은 P. T. Forsyth의 성경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살펴본다. P. T. Forsyth(1848–1921)에게 성경은 복음의 성례적 매개체이며, 신약성경은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하나님의 구원 활동에 결정적으로 포함된다. Forsyth는 성경이 전달하는 복음에 권위를 부여함으로써, 성경 연구와 성경 무오설이라는 두 가지 대안적 권위의 원천에 대해 상당한 유연성을 가진다. 교회론적 성경 읽기는 학계의 합리주의나 기계적인 축자영감설에 매이지 않는다. Forsyth가 "긍정적인 복음"이라고 부른 것에 의해 힘을 얻은 교회는 성경을 단호하고 유연하게 읽으며, 말씀 위에 임하는 성령의 활발한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더욱이, 십자가는 모든 역사와 인간의 행동을 해석할 수 있는 유일한 초역사적 원리이다. 이어지는 내용은 Forsyth가 요한복음 12장과 요한복음 16장의 설교에서 만나는 예수에 대해 논한다. Forsyth의 강력한 신약성경 읽기는 요한의 심판, 책망, 죄에 대한 언어를 되살린다. 세상을 거쳐 십자가에서 죽는 아들의 거룩함은 세상의 위기이며, 죄 많은 세상과 거룩하신 아버지의 화해를 이룬다. Forsyth의 일관된 신학적 해석은 신학자가 성경에 몰두하고 복음의 자원에 집중할 때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P. T. Forsyth's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Scripture for P. T. Forsyth (1848–1921) is a sacramental agent of the gospel, and the NT writings are decisively incorporated within the redemptive activity of God in Christ. Forsyth's location of authority in the gospel conveyed by Scripture allows him considerable flexibility in relation to two alternative sources of authority: biblical scholarship and biblical infallibility. An ecclesial reading of Scripture is beholden neither to the rationalism of the academy nor to mechanical theories of verbal inspiration. A church resourced by what Forsyth termed the "positive gospel" will read Scripture with decisiveness and litheness, giving space for the lively activity of the Spirit upon the Word. Moreover, the cross is the one superhistoric principle capable of interpreting all history and human action. The essay then turns to the Jesus that Forsyth encounters in his preaching of John 12 and John 16. Forsyth's powerful reading of the NT reinvigorates John's language of judgment, conviction, and sin. The holiness of the Son moving through the world and dying on the cross is the crisis of the world and accomplishes the sinful world's reconciliation with the holy Father. Forsyth's consistently theological interpretation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a theologian's immersing herself in Scripture and concentrating on the resources of the gospel.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