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의 παράκλητος: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을 참조하여

이 논문은 요한복음과 필론(Philo of Alexandria)이 공유하는 용어, 주제, 사상에 관 한 도드(C. H. Dodd), 지거트(Folker Siegert), 보겐(Peder Borgen) 등의 선행연구를 보 완하기 위한 시도로서, 요한복음의 παράκλητος를 필론을 참조하여 문헌학과 사상사비 평 관점에서 탐색한 것이다. ‘파라클레토스’는 데모스테네스(BC 384-322)의 글에 처음 등장하여 법정 용어로만 극히 드물게 사용되었다. 셸퍼(Lochlan Shelfer)는 데모스테네 스가 로마 법정 용어 advocatus를 그리스어 παράκλητος로 차용하여 아고라 법정 상황 에 적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희귀 단어는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 필론의 글에서 로마 법정 문화와 유대 신앙 전통이 어우러진 형태로 11회 등장한다. 이후로 비-유대계 문헌에서는 발견되지 않다가 요한복음에 4회, 요한일서에 1회 나타난다. 그런 다음에 이 용어는 시내산 사본에 포함된 ‘바나바의 편지’에서 순수한 로마 법정 의미로 1회 등장한다. 공교롭게도 바나바의 편지를 처음 언급한 사람들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 스와 알렉산드리아에서 나고 자란 오리게네스로서 모두 알렉산드리아 출신들이다. 이 어서 ‘파라클레토스’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2회, 오리게네스가 8회 이상 언급한 다. 특히 필론과 요한복음 모두에 정통했던 오리게네스는 요한복음의 파라클레토스를 해석하면서 필론의 언어를 도입한다. 이처럼 파라클레토스가 필론을 기점으로 알렉산 드리아와 연관된 일련의 작품들에서 잇달아 출몰한다는 사실은 당시 알렉산드리아에 로마 법정 문화가 정착했던 사실을 반영하고, 요한복음의 파라클레토스 또한 필론과 무관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παράκλητος in the Fourth Gospel and Philo of Alexandria using philological criticism and history of ideas, aiming to supplement the suggestions by C. H. Dodd, Folker Siegert, and Peder Borgen regarding motifs shared between John and Philo. Παράκλητος first appeared in Demosthenes (384-322 BC) and was used exclusively as a legal term, being very rarely employed. Lochlan Shelfer argued that Demosthenes coined the Greek term παράκλητος to render the Roman legal term ‘advocatus’ applicable within the context of the Greek agora court. Philo expanded the term’s meaning by integrating Roman court culture and Jewish religious tradition, employing it at least 11 times. Subsequently, the term is not found in any extant literature until it appears four times in the Fourth Gospel and once in 1 John. The term then appears once with its purely Roman legal connotation in the Epistle of Barnabas. This epistle is first mentioned by Clement of Alexandria and then Origen. Clement refers παράκλητος twice, and Origen more than eight times. Notably, Origen, who was well versed in both Philo and the Fourth Gospel, incorporates Philo’s terminology when interpreting the Johannine παράκλητος. The recurring presence of παράκλητος in Alexandrian texts beginning with Philo reflects the establishment of Roman legal culture in Alexandria during that period and suggests that Philo may have influenced the usage of παράκλητος in Joh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