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5.2.0247
본 논문은 누가복음-사도행전에 나타난 예수의 부활 및 승천 기록을 신학적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은 (1) 2세기의 예수 부활과 승천의 육체성에 대한 관심과 (2) 오늘날 지속되는 백인 우월주의에 대한 우려라는 복합적인 렌즈를 통한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육화된 인간성이라는 지점에서 교차한다. 논의의 초점은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해방 왕으로서 예수가 유대인의 육체로, 상황에 특화된 방식으로 참된 인간성을 구현한 것이다. 이처럼 그는 야수적 형태의 인간성을 거부한다. 이 야수적 인간성은 1세기에는 황제에 의해, 오늘날에는 백인성으로 위장한 '제국적 신인'(J. 캐머런 카터의 용어)으로 상황적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취한다. 예수에 의해 구현된 바로 이 형태의 인간성—그 모든 육체성과 전기적 특이성을 가진—이 하나님에 의해 죽음에서 부활하여 하늘로 승천하며, 참된 인간성의 시금석으로 남는다. 이는 백인 인류가 스스로를 인류의 최고 형태로 집단적으로 표방하는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주장을 허위로 드러낸다.
This article offers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esurrection and ascension accounts in Luke-Acts through a composite lens consisting of (1) second-century interests in the physicality of Jesus’s resurrection and ascension and (2) present concerns about ongoing White supremacy, issues that intersect at the site of embodied humanity. The focus is on Jesus’s contextually specific enactment of true humanity in Jewish flesh as Israel’s representative liberating king. As such, he rejects a beastly form of humanity contextually embodied in the first century by the emperor and contextually embodied today as “the imperial God-Man” (J. Kameron Carter’s term) cloaked in Whiteness. It is this form of humanity embodied by Jesus—in all its physicality and biographical specificity—that is raised by God from the dead and that ascends into heaven, while remaining the touchstone of true humanity. This gives the lie to implicit and explicit claims of White humanity collectively representing itself as the highest form of huma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