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 10:22에 나타난 '요한적 벼락': 누가의 서사적 전개에 대한 고찰

The "Johannine Thunderbolt" in Luke 10:22: Toward an Appreciation of Luke's Narrative Sequence

https://doi.org/10.2307/26421367

이 에세이는 누가복음 10장 22절을 자료 비평이나 편집 비평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여러 연구와는 대조적으로, 누가-행전의 소통 의도를 파악하고자 노력한다. 따라서 22절을 문맥 안에서 해석하고, 10장 17-24절을 이야기와 모범 독자가 가정하는 전제 풀(presupposition pool)에 비추어 읽는다. 내 주장은 17-20절을 제2성전 시대 유대교 묵시 문학에 비추어 읽을 때, 예수와 하나님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암시하는 새로운 의미 형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 형성은 이어지는 21-24절의 계시적 담론에서 확인되고 설명된다. 따라서 예수의 정체성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21-22절의 극적인 말씀뿐만이 아니다. 예수의 말씀과 더불어 10장 17-24절의 응집력 있는 연속 자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누가의 이야기의 두 측면 모두를 이해할 때에만 누가의 예수 묘사, 그리고 그를 통한 하나님의 제시가 완전히 드러난다.

In contrast to a number of studies that examine Luke 10:22 from a source-critical or redactional approach, this essay strives to hear the communicative intent of Luke-Acts. Accordingly, it interprets v. 22 within its cotext and reads 10:17–24 in light of the presupposition pool assumed by the narrative and its model reader. My contention is that, when vv. 17–20 are read in light of the apocalyptic literature of Second Temple Judaism, the result is a new figuration of meaning that suggests an intimate relation between Jesus and God. This figuration of meaning then finds its confirmation and explication in the ensuing revelatory discourse of vv. 21–24. It is not only Jesus' dramatic speech in vv. 21–22, the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Jesus' identity. The cohesive sequence of 10:17–24 itself, in concert with Jesus' speech, plays a crucial role. It is only when both facets of Luke's narrative are appreciated that Luke's portrait of Jesus and, thereby, his presentation of God, fully emerg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