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티아누스주의에 대한 종교개혁의 응답: 16세기 히브리서 6:4-6 해석

Reformation Responses to Novatianism: 16th-Century Interpretations of Hebrews 6:4–6

https://doi.org/10.2307/26421293

히브리서 6장 4-6절의 본문은 교회 역사 전반에 걸쳐 기독교 주석가들에게 지속적인 문제를 제기해 왔다. 3세기의 노바티아누스 이단 이후, 해석가들은 이 어려운 성구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여 왔다. 전 비평적 해석가들은 노바티아누스의 해석이 불충분하다는 데 동의했지만, 본문 해석에 있어서는 눈에 띄게 달랐다. 이는 특히 이 구절에 대한 16세기 해석가들에게 해당된다. 에라스무스, 마틴 루터, 존 칼빈은 모두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해석학적 접근 방식에 따라 놀라울 정도로 다른 결론에 도달했다. 에라스무스는 인문주의로 무장했지만 여전히 로마 교회를 충실히 지지했기에, 바울의 저작권을 거부하는 동시에 전통에 의존하여 해석학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었다. 루터는 초기 경력에 이 서신에 대해 강의했고 이후에 "다른 평판"을 가진 신약의 네 서신으로 격하시켰으며, 인문주의적 주석의 결과를 사용했지만 하나님의 자비에 대한 그의 일관된 신학과 결합하여 바울의 저작권을 거부함으로써 히브리서를 선택적으로 읽고 사용했다. 칼빈은 16세기 교회법 비평이라고 할 수 있는 훌륭한 예에서, 에라스무스와 루터가 옹호한 저작권의 전제를 받아들이면서도 이 책이 정경임을 단호하게 주장하고 이 부분을 선택과 유기의 관점에서 해석했다.

The text of Heb 6:4–6 has posed an ongoing problem for Christian exegetes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church. Ever since the Novatian heresy in the 3rd century, interpreters have offered a number of responses to this difficult pericope. Although precritical interpreters agreed that Novatian's exegesis was insufficient, they differed noticeably in their actual exposition of the passage.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ith 16th-century interpreters of this passage. Erasmus of Rotterdam,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though all trained in humanism, came to remarkably different conclusions based on their hermeneutical approaches. Erasmus, armed with humanism but still a loyal supporter of Rome, could at once reject Pauline authorship while simultaneously relying on the tradition to solve the exegetical dilemma. Luther, who lectured on the epistle early in his career and subsequently relegated it to the four letters of the NT of "a different reputation," used the results of humanist exegesis but coupled them with his single-minded theology of God's mercy to reject Pauline authorship, thereby reading and using Hebrews selectively. Calvin, in a splendid example of what might be termed 16th-century canonical criticism, accepted the premise of authorship that Erasmus and Luther espoused yet assertively claimed the book to be canonical and interpreted the section through the lens of election and reprobatio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