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3.1.0094
아타나시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 양자 모두 성경에 부합하는 삶의 행실 없이는 성경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그러한 주장들이 보다 충분히 발전되고 성경 읽기에 적용될 수 있는 해석학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성경적 이해는 독자의 응답적 행동과 연계된다. 독자들이 성경을 통해 올바른 행동을 수행할 수 없다면 성경의 개념적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행동을 통해서만 독자들은 성경적 개념들을 통해 하나님이 의미하는 바를 의미할 수 있다. 정보의 획득이 그러한 이해에 필수적이지만, 그것은 충분조건이 아니다. 이해, 그리고 그에 따라 이해되어야 할 텍스트적 의미는 궁극적으로 행동의 차원에서 작동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성경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이중적 역동성을 탐색한다. 즉,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사역의 절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들을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 받으며, 이 이해는 이 개념들을 통해 하나님께 응답하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행동들과 분리될 수 없다. 이 과정의 양 부분은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에게 낮아지시어 그의 소통의 각 측면을 온전히 효력 있게 만드시므로 본질적으로 참여적이다. 이를 위해 부활의 개념은 정경적 맥락에서 고찰되고 그리스도를 고백하는 행위와 연계될 때 시범 사례를 구성할 것이다.
Both Athanasius and Augustine hold that one cannot truly understand Scripture without a life of conduct congruent with it. This article seeks to provide a hermeneutical framework by which such claims can be more fully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reading of Scripture. In particular, scriptural understanding will be coordinated with the responsive action of the reader. For readers have not understood the conceptual content of Scripture if they cannot perform the right actions with it. Only by way of such actions can readers mean what God means by scriptural concepts. While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such understanding, it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Understanding, and thus the textual meaning to be understood, ultimately operate on the level of actions. Accordingly, this article will trace a two-fold dynamic that enables scriptural understanding. That is, it is by God’s revelation that we receive the concep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ulmination of his work in Christ, and this understanding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pirit-enabled actions by which we respond to God by way of these concepts. Both parts of this process are inherently participatory as God condescends to his people to make each aspect of his communication wholly efficacious. Toward that end, the concept of resurrection will constitute a test case as it is examined in its canonical context and coordinated with the act of confessing Chr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