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도 뜨겁지도 않고 미지근함

Rethinking the Temperature Metaphor in Revelation 3:15–16

요한계시록 3장의 온도 비유는 예수님이 라오디게아 사람들의 영적 상태를 훈계하기 위해 사용하신 것이다. 이 비유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그 도시의 부실한 수도 시스템에 중점을 두는데, 이 해석은 최근의 고고학적 발견으로 인해 더는 타당하지 않다. 이후 다른 해석이 제안되었으나, 이 또한 설득력이 없다. 본 논문은 라오디게아의 수리(水利) 상황과 관련된 고고학적 발견들을 간략히 검토하고 대안적 제안을 비판한 후, 라오디게아와 아시아의 다른 여섯 도시의 물질문화, 특히 로마 목욕탕에서의 목욕을 배경으로 삼아 온도 비유를 해석하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한다

The temperature metaphor in Revelation chapter 3 is used by Jesus to admonish the Laodiceans regarding their spiritual condition. The prevailing understanding of the metaphor centres around the city’s deficient water system, an interpretation no longer tenable because of recent archaeological discoveries. A subsequent interpretation of the metaphor was proposed, but this too is not persuasive. After briefly reviewing the archaeological finds related to Laodicea’s hydrological situation and critiquing the alternate proposal, a fresh hypothesis is introduced for interpreting the temperature metaphor by setting it amidst the material culture of Laodicea and the other six cities in Asia, specifically bathing in a Roman bathhouse

Continue reading